안경박물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7 14:49
본문
Download : 안경박물관.hwp
③우각안경테제작(암소뿔을 사용)
황소뿔은 사용치 않음-(황소뿔은 색깔 자체가 끝부분이 검거나 희거나 어둡고 뿔이 두꺼우며 끝부분이 막혀 있어서 안경테의 재료로 부적합) 암소뿔-(속이 황소뿔에 비해 그렇게 차 있지도 않고 색깔도 아주 연한 갈색이며 고르게 색이 퍼져 있다 )
암소뿔의 끝은 잘라버리고 이것을 물에다 며…(skip)
,공학기술,레포트
안경박물관






안경의 역싸와 안경박물관을 다녀온 소감
안경의 역사와 안경박물관을 다녀온 소감안경박물관 , 안경박물관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설명
Download : 안경박물관.hwp( 94 )
안경박물관
다. 다 식은 뒤에는 거친 숫돌로 대강 갈아서 평면을 만든 다음 안경 본을 대고 끝이 뾰족한 송곳으로 그린다. 이 당시 안경 한 벌 값은 쌀 1가마보다 3배쯤 비쌌다. 안경알을 끼울 때는 암소뿔만 사용하는데 색깔이 곱고 투명해 광택이 잘 나기 때문일것이다 암소뿔을 구해서 그 끝을 잘라 낸 뒤 며칠 동안 물에 담가 둔다. 다듬은 뒤에는 고운 사포로 문지른다. 활비비(송곳)로 구멍을 뚫고 가는 톱으로 대충 모양을 낸 다음 창칼로 깎아서 다듬는다. 그 다음 물에서 건져 톱을 이용하여 세로로 자른 다음 화롯불에 쪼이며 판판하게 편다. 심지어 송아지 한 마리가 5원 할 때 안경값이 20원까지 했으므로 재산이 없는 사람은 안경 하나 장만할 엄두도 내지 못했다. 안경테에 붙이는 장식이나 경첩은 유기(신주)로 만든 다음 가는 구리나 신주 철사를 사용해 못을 만들어 박는다. 이것을 알맞은 두께로 갈아서 대모 안경 만드는 기법으로 만든 뒤 광을 낸다.레포트/공학기술
②대모안경테제작(거북의 등껍질을 사용)
거북 등껍질도 안경테를 만들 수 있는 부분은 한정되어 있고 색깔도 좋은 쪽을 선택하므로 대모 안경테는 비쌀 수밖에 없었다. 대모안경테를 만드는 과정은 먼저 휘어진 대모를 불에 구워 판판하게 펴 무거운 돌로 식을 때가지 눌러 둔다. 광을 낼 때는 가죽이나 광목 같은 천을 널판에 붙여서 보드라운 숫돌 가루나 숯가루를 물에 축여 발라서 낸다. 그러나 일제 때에는 모터를 이용하면서도 대량 생산이 가능해 네다섯 시간이면 안경알 한 벌을 만들 수 있었으므로 그 값도 자연히 떨어졌다. 이렇게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안경 한 벌을 만들 수 있었으므로 기간도 한 달 내지 두 달이 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