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2 20:13
본문
Download :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hwp
아니마가 이럴 경우 당사자는 화를 잘 내는 성격의 소유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일단 <프린스 앤 프린세스>가 형식적인 측면에서 이 차원의 평면 그림자를 택했다는 것, 삼차원의 입체를 포기했다는 것이 …(To be continued )
아니마아니무스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
%EC%99%80%20%EC%95%84%EB%8B%88%EB%AC%B4%EC%8A%A4(animus)_hwp_01.gif)
%EC%99%80%20%EC%95%84%EB%8B%88%EB%AC%B4%EC%8A%A4(animus)_hwp_02.gif)
%EC%99%80%20%EC%95%84%EB%8B%88%EB%AC%B4%EC%8A%A4(animus)_hwp_03.gif)
%EC%99%80%20%EC%95%84%EB%8B%88%EB%AC%B4%EC%8A%A4(animus)_hwp_04.gif)
%EC%99%80%20%EC%95%84%EB%8B%88%EB%AC%B4%EC%8A%A4(animus)_hwp_05.gif)
%EC%99%80%20%EC%95%84%EB%8B%88%EB%AC%B4%EC%8A%A4(animus)_hwp_06.gif)
융의 분석심리학의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의 定義(정이) 을 살펴보고, 미셸 오슬로의 실루엣 애니메이션인 <프린스 앤 프린세스>와 일상생활에서 찾아본 아니마와 아니무스에 대한 글입니다. 즉 개인의 꿈이란 특정화된 신화이며, 반대로 신화는 보편화 된 꿈인 것이다.
아니마와 아니무스는 보통 자신의 이상형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레포트/인문사회
■ 칼 구스타프 융 (1875~1961)
■ 아니마 (anima) : 마음속의 여성
■ 아니무스 (animus) : 마음속의 남성
■ ‘프린스 앤 프리세스’
● 그림자가 일깨우는 인간의 양성성
● 따뜻함이 고정관념을 벗긴다
● theory 을 앞서는 오랜 지혜
일상생활에서 찾아본 아니마와 아니무스
♣ 아니마와 아니무스는 보통 자아는 인식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부정적인 아니마를 극복할 경우 mean(평균)치 이상으로 남자다워질 수 있다아) 이런 부정적인 아니마상은 자기암시를 끝없이 되풀이 하여 권태감이나 무력감의 Cause 이 되는가 하면, 혹시 병에 걸리지 않을까, 혹은 사고는 당하지 않을까 하는 등의 쓸데없는 걱정을 하게 하기도 한다. 어머니로부터 나쁜 effect(영향) 을 받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아니마는 흔히 조급하고, 우울하고, 불확실하며 불안정하다.
■ ‘프린스 앤 프리세스’
● 그림자가 일깨우는 인간의 양성성
모든 사람들 마음속에는 왕자와 공주가 있다아 흔히 신화나 동화는 정신 작용이 빚어내는 가장 심오한 형태의 언어로 우리 내면의 어떤 모습을 드러내준다.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순서
Download :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hwp( 19 )
융의 분석심리학의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의 개념을 살펴보고, 미셸 오슬로의 실루엣 애니메이션인 <프린스 앤 프린세스>와 일상생활에서 찾아본 아니마와 아니무스에 대한 글입니다. 그러나 문제가 되는 것은, 그 확신에는 그 여성 자신의 인격적 현실이 고려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심각할 경우 당사자를 자살로 몰고 갈수 있다아 아니무스의 경우 아버지는 자기 딸의 아니무스에 논쟁의 여지가 없는 진정한 확신이라는 특수한 색채를 부여한다. 아니마의 경우 자신의 어머니상을 닮아가고, 아니무스는 자신의 아버지상을 닮아간다. 자신의 아니마가 터프하다면 터프한 여성에게 호감을 느끼게 되고, 자신의 아니무스가 부드럽다면, 부드러운 남성에게 호감을 가지게 된다
아니마와 아니무스는 자신의 성격과 정반대의 성격을 띠고 있다아 자신의 억압된 모든 무의식적인 성격과 인격이 하나로 이루어져 나타나는 것이 아니마와 아니무스 이다.아니마아니무스 ,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인문사회레포트 ,
다. 미셸 오슬로의 실루엣 애니메이션인 <프린스 앤 프린세스> 는 융의 分析(분석)심리학에 대한 완벽한 구현이자 어떤 경배 같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