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적 성서해석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5 02:13
본문
Download : 한국적 성서해석에 관한 연구.hwp
즉 정약용의 해석방법을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보면, 형식상의 방법과 내용상의 방법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적 성서해석에 관한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정약용은 “경(經)의 뜻이 밝혀져야만 도체(道體)가 드러나고, 도를 얻은 다음에 심술(心術)이 밝아지고, 심술이 바르게 된 뒤에야 덕(德)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니 경학(經學)을 소홀히 할 수 없다”하였다. 사…(생략(省略))
Download : 한국적 성서해석에 관한 연구.hwp( 49 )
한국적성서해석에관한
,인문사회,레포트
한국적 성서해석에 관한 연구
순서






다.
이러한 정약용의 해석방법을 김영호는 다음과 같이 정리(整理) 하였다. 예를 들어 정약용은 ꡔ시경(詩經)ꡕ과 ꡔ서경(書經)ꡕ에서 적절한 증거를 찾아 자신의 논어 해석을 설득력있게 전개하였다. 즉 이경증경의 방법이다. 예를들어 한국 백성의 종교적 전통에는 누구나 천(天)을 숭배할 수 있으나 조선시대에는 주희의 ꡔ논어ꡕ 해석과 사대주의의 influence으로 이러한 길이 막혀 있었다. 그리고 정약용은 경전해석의 처음과 마지막은 조자(造字)의 원의(原義)를 밝히는 것 즉 공자의 원뜻을 밝히는 것이라 하였다. 즉 정약용은 경전해석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겼다.한국적성서해석에관한 , 한국적 성서해석에 관한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I. 서 론
II. 경전 중심의 해석
III. 실제 상황 중심 해석
IV. 공동체를 살리기 위한 해석
V. 한국의 종교적 전통을 중심한 외래 종교경전의 해석
1. 하늘(天)을 섬기는 신앙
2. 풍류도(風流道)
3. 동학
4. 다경전적 상황(multi-scriptural context)에서의 성서해석
VI. 해석공동체의 characteristic(특성)을 중시하는 해석
VII. 결 론
II. 경전 중심의 해석
다산 정약용(1762-1863년)은 유교의 경전을 파격적으로 해석하면서도 그 근거를 먼저 경전 자체에서 찾았다. 형식상의 방법은 또 자가독창해석법과 타가의존해석법으로 나눌 수 있고 타가의존해석법은 다시 1. 인증법(引證法), 2. 고이법(考異法), 3. 사실법(事實法) 등으로 나눌 수 있다아 인중법은 논어 외의 다른 경서와 서적들을 증거로 활용하는 방법이다. 정약용은 천을 숭배할 수 있는 길을 열 때 먼저 ꡔ논어ꡕ를 재해석해서 그의 주장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경전 속에서 새로운 원리를 발견하려는 정약용의 태도를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도 살펴 볼 수 있다아
그리고 정약용은 경전으로 경전을 증명하는 이경증경(以經證經) 혹은 이경석경(以經釋經)의 방법을 강조하면서 활용하였다.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한국적 성서해석에 관한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그리고 고이법은 논어 원문의 차이를 지적하면서 원문을 복원시키는 작업이다. 성서해석에 있어서 본문비평에 해당하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