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대중정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00:18
본문
Download : 러시아의 대중정책.hwp
강택민 중국(中國) 국가주석은 NATO의 동진정책에 대한 러시아의 반대 입장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였다. 이 방문을 계기로 북경과 모스크바 간에 핫라인을 설치하기로 합의함으로써 러시아는 북경과의 관계를 워싱턴, 본, 파리와 동일한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1996년에는 중국(中國)과 대만, 미국간의 군사, 외교적 갈등이 극심한 때였던 만큼 옐친대통령의 중국(中國)방문은 국제적인 관심사였다. 공동서명에서는 ‘the twenty-first century를 지향하는 전술적 협력의 동반자’관계를 발전시켜 나갈 것을 천명하고 이를 실천하는 양국관계, 국제평화와 발전, 그리고 아태지역에서의 안보와 협력이라는 항목으로 나누어 說明(설명) 하였다. 양국은 1996년 옐친대통령의 중국(中國)방문으로 ‘전술적 협력의 동반자’단계로 접어들었다. 양국 정상은 주요 국제문제에 관한 견해를 교환하였으며 특정문제에 대한 견해를 같이하였다.
러시아의 대중정책
서론
본론
1. 푸틴 집권 이전 러·중 관계
-고르바초프 이전 시기
-고르바초프 시기
-옐친 시기
2.푸틴 집권 후 러·중 관계
-푸틴의 대외정책 기조
-푸틴 시기 러·중 관계
-러시아의 중국(中國) 견제 necessity need
conclusion(결론)
옐친의 성공적인 북경방문이후 양국관계는 급속히 improvement되어 ‘건설적인 동반자 관계’로 발전하였다. 이에 양국은 국제문제 해결과정에서의 미국의 주도적 역할에 제동을 걸면서 다극화된 국제질서를 구축해 가야 한다…(省略)
설명
순서
러시아의대중정책
,인문사회,레포트
러시아의대중정책 , 러시아의 대중정책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러시아의 대중정책.hwp( 36 )
레포트/인문사회
다. 이로서 이듬해 이붕 총리 및 강택민 국가주석의 모스크바 방문이 각각 이루어졌고, 1997년 11월에는 옐친대통령의 북경방문이 있었다. 양국고위 인사들의 교환방문이 이어져서, 경제 및 무역협력에도 긍정적인 influence(영향)을 미쳤다. 북경 정상회담에서 양국정상은 대만문제 및 체첸사태는 국내문제라는 견해를 교환함으로써 대만문제에 대한 미국의 간섭이 부당하다는 공동입장을 천명하였다. 정상회담에서는 양국 간의 전술적 협력의 동반자관계를 심화시키기 위하여 정상회담 및 총리 등 주요 각료회담을 연례화하기로 합의하였다. 1993년에는 양국 간 교역량이 76.8억 달러에 이르렀다. 그들은 국제사회의 다양성과 국가 간의 차별성을 인정하면서 동등한 입장에서의 상호협력을 지지하였고, 패권주의와 권력정치를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였으며, 또한 무력에 의하기보다는 평화적인 방법을 통한 분쟁해결, 아.태지역 국가 간의 협력증진, NPT연장을 지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