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차자표기 체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14:10
본문
Download : 한국의 차자표기 체계.hwp
한국의차자표기체계 , 한국의 차자표기 체계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한국의 차자표기 체계.hwp( 22 )
설명
순서
한국의차자표기체계
훈민정음 창제 이전, 한자를 빌어 쓴 차자표기법이 어떤 것인지, 그것에는 어떠한 종류가 있는지 요약했습니다. 그것은 한국어와 china어가 계통적으로 아주 다른 언어이기 때문일것이다 슐라이허가 구분한 언어의 3가지 유형 가운데, 한국어는 교착어이고, china어는 고립어에 속한다. china이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었기 때문에 한자를 빌어 쓴 것이고,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에 이르기까지 china의 한자를 차용하면서 그들의 文化를 받아들여 아직까지도 우리나라에는 china의 文化가 어느 정도 남아있다
입말인 한국어를 언어 체계가 다른 china의 한자로 표기하는 것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힘든 일이었다.
한국어가 속하는 교착어(agglutive language)는 단어가 활용될 때 단어의 어간과 어미가 비교적 명백하게 분리되는 언어로 그 패턴은 중고등학교 국어시간에 배우는 형태소 分析(분석)을 이해하면 쉽게 파악된다 대체로 하나의 형태소는 하나의 문법적인 기능을 한다.
(1) 한국어 : 아버지는 나귀타고 장에 가신다. => 아버지/는(주격조사) 나귀/타(동사어간)/고(접속형 어미) 장/에(방향을 나타내는 조사) 가(동사어간)/시(존경형 접미사)/ㄴ(진행형 접미사)/다(종결형 접미사).
한국어, 터키어, 日本 어, 핀란드어, 헝가리어등이 교착어에 속한다. 영어의 경우 복수형 접미사 s나 과거형 접미사 (e)d등에서 교착어적인 모습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hina어가 속하는 고립어(isolated language)는 문법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어미가 거의 없고 어순과 위치만으로 문법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언어이다.
한국의 차자표기 체계
,인문사회,레포트
훈민정음 창제 이전, 한자를 빌어 쓴 차자표기법이 어떤 것인지, 그것에는 어떠한 종류가 있는지 정리했습니다. 첨가어라고도 한다. 슐라이허가 구분한 언어의 3가지 유형은 굴절어, 교착어, 고립어이다.
레포트/인문사회






목차 없음.
한글이 창제되기 이전, 우리말을 표현할 글이 없어, 좀 배운 양반들은 한자로 표기를 하였는데, 일반 서민들은 어려운 한자의 음을 빌어 표기하였다. china-티벳 어족에 속하는 china어, 타이어, 미얀마어, 티벳어 등과 남태평양의 사모아어 등이 고립…(skip)
다. 기원전 4세기에 고조선에서 china식 왕호를 사용했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기원전 5-4세기 무렵엔 한반도에 한자가 전래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