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1 04:18
본문
Download :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hwp
- 자음이나 모음뿐만 아니라 말소리의 길이나 높이가 있다
- environment에 따라서 말소리가 바뀐다.
․ ‘국민’을 /궁민/으
제 6장 국어와 민족 culture
1. 국어의 특질
- 언어를 두 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제,장,국어와,민족,문화,인문사회,레포트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 ,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인문사회레포트 , 제 장 국어와 민족 문화
Download :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hwp( 85 )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
순서
제 6장 국어와 민족 문화 13
제 6장 국어와 민족 culture
1. 국어의 특질
- 언어를 두 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① 언어의 구조적 특징에 근거하는 기준 → 언어의 유형 분류
② 언어의 기원과 歷史에 근거하는 기준 → 언어의 계통 분류
1.1. 국어의 유형론적 특질
① 음운 특질
- 국어 자음
/ㄱ ,ㄲ, ㅋ /, /ㄷ, ㄸ, ㅌ/, /ㅂ, ㅃ, ㅍ/, /ㅈ, ㅉ, ㅊ/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가 셋씩 짝을 이루어 분화되어 있다
- 음절끝 위치에서 자음들이 모두 파열되지 않는다.
- 다른 언어에서는 쓰이지만, 국어에서는 쓰이지 않는 음운
̶…(省略)
다.
- 다른 언어에서는 쓰이지만, 국어에서는 쓰이지 않는 음운
․ 국제 음성 기호로 [f, v]로 표시하는 순치 마찰음
․ 유성음과 무성음이 변별되지 않는다.
① 언어의 구조적 특징에 근거하는 기준 → 언어의 유형 분류
② 언어의 기원과 歷史에 근거하는 기준 → 언어의 계통 분류
1.1. 국어의 유형론적 특질
① 음운 특질
- 국어 자음
/ㄱ ,ㄲ, ㅋ /, /ㄷ, ㄸ, ㅌ/, /ㅂ, ㅃ, ㅍ/, /ㅈ, ㅉ, ㅊ/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가 셋씩 짝을 이루어 분화되어 있다
- 음절끝 위치에서 자음들이 모두 파열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