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사회변동과 향촌사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5 06:01
본문
Download : 조선후기 사회변동과 향촌사회.hwp
전근대조선사회를바라보는시선으로서그시기를양분하는2분법론과이에대응하는3분법론을말할수있다 , 조선후기 사회변동과 향촌사회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조선후기 사회변동과 향촌사회






-개요-
Ⅰ. 서론
Ⅱ. 본론
1. 이태진교수의 小氷期를 중심으로
-반론-
2. 고영진 교수의 논문을 중심으로
-반론-
Ⅲ. 結論(결론)
Ⅰ. 서론
전 근대 조선사회를 바라보는 시선으로서 그 시기를 양분하는 이분법론과 이에 대응하는 3분법론을 말할 수 있다 먼저 이분법론은 양란을 중심으로 국가의 위기 속 에서 중앙에서 국가재조론을 내세워 다시금 조선을 이끌어갔음을 말하고 있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삼분법론은 양란의 비중을 크게 두지 않으며 중앙이 아닌 향촌의 사족지배체제의 影響력 아래 그 위기를 극복해나아 갔음을 얘기한다. 그리고 이러한 서양사의 경향을 한국사에도 적용하면서 이에 관련된 기록을 국정사서인 조선왕조 실록에서 찾고 조선시기의 사회변동의 원인(原因) 역시 이러한 ‘소 빙하기’에서 찾고자 하는 것이 바로 이태진 교수의 입장이다. 게다가 17세기의 여러 사회적 變化가 소빙기 때문이라고 結論(결론)짓는 여러가지 …(省略)
,인문사회,레포트
전근대조선사회를바라보는시선으로서그시기를양분하는2분법론과이에대응하는3분법론을말할수있다
조선후기 사회변동과 향촌사회에 대한 data(자료)입니다.
Download : 조선후기 사회변동과 향촌사회.hwp( 42 )
조선후기 사회변동과 향촌사회에 대한 자료입니다.
Ⅱ. 본론
1. 이태진교수의 소 빙하기를 중심으로
먼저 이태진교수의 소 빙하기에 관한 이태진 교수의 논문을 살펴보면 17세기의 history(역사) 에 있어서 전세계적으로 가뭄, 기아, 질병등이 만연했고, 또한 사회적인 변동 및 전쟁이 빈번하였는데, 이의 원인(原因)을 기온의 일시적인 강하 현상인 ‘소 빙하기’에서 찾고자 하는 연구가 서양사학계에서 제기되고 있음을 말한다.
하지만 삼분법론은 이분법론의 논지를 공박하기 위한 모습과 연구reference(자료)의 부족 지나친 미시적시각을 통해 읽어 내려가야 할 큰 줄기를 놓치는 듯한 인상을 남긴다.
이에 본고에서는 삼분법론 속에서 간과한 사실들을 열거하며 이분법의 논지를 설명(explanation)해 보려 한다. 이러한 소빙하기의 도래가 전쟁과 같은 1차적이고 직접적인 變化의 원인(原因)이 되었을 것 이라는 이야기를 한다.
다.
-반론-
그러나 이러한 세계사적 해석을 시도한 그 의미와는 달리 결과를 보자면 정설로서 확신을 이루기 어렵다. 소빙기 동안 실록에 더 많은 자연 현상 기록이 남아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더라도, 그 기록이 꼭 어떠한 기상 현상을 적어 놓은 것인지 의문이 들기 때문일것이다 설혹 그런 기상 현상이 있었다고 치더라도 그것이 운석 충돌 때문일 것이라는 해석은 더욱 이해가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