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 수업을 왜 하지? - 수업으로 읽는 우리 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0 14:39
본문
Download : [유아교육] 수업을 왜 하지 - 수업으로 읽는 우리 교육.hwp
이 책은 아홉 개의 수업장면을 눈에 보듯 사실적으로 그려낸 후에 이에 대한 저자의 비평과 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책은 그동안 성역 또는 밀실의 대상이었던 수업을 세상에 속속들이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따 교원평가제가 현실화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교사의 수업은 이제 더 이상 교사만의 고유한 성역이 아닌 평가의 대상인 것이다. 아니 그저 그 혼자 만든 청사진을 보기를 원했다기보다는 그의 구상도와 설계도 작업에 같이 참여하고 싶은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이러한 비판을 토대로 좀 더 나은 수업, 좋은 수업을 향해 일보 전진할 수 있으리란 희망을 가져보면서 이 책에 대한 논의를 처음 해 보자.
Ⅰ. 왜 이 책을 선택하게 되었는가
Ⅱ. 책 들여다 보기
1. 어느 수업 풍경 하나
2. ‘나의 수업’을 찾는다는 것은 무엇인가?
3. 수업에서 교사는 무엇을 경험하는가
4. 교사는 왜 수업에 전념할 수 없는가?
5. 교사는 왜 학생을 통제하는가?
6. 학생들은 수업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7. 수업방법은 배움을 보장하는가?
8. 어떤 수업이 좋은 수업인가
9. 나는 무엇을 위해서 수업을 했는가
Ⅲ. 무엇을 시사하고 있는가
Ⅳ. 글을 맺으면서
교사는 학생과의 소통과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만남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간과한 데 있따 나는 저자의 수업방식이 옳다고 생각하고 지금도 높이 평가하고 있따 그런데 문제는 그의 옳은 수업방식을 진행해 나가면서 그의 방식이 왜 옳은지, 왜 교과내용의 순서를 뒤바꿔야 했는지, 왜 늦게까지 아이들에게 공부를 시켜야 했는지에 대한 소통이 없었다는 것이다.‘두사부일체’라든지‘스승의 그림자는 밟지도 않는다’는 옛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우리사회의 전통적 유교사상은 스승 고유의 업무나 권한에 대한 의의나 제언을 불가능하게 하였다. 하지…(To be continued )
설명
[유아교육학]수업을왜하지
다. 이러한 의문을 갖게 되면서 ‘수업을 왜 하지?’ 라는 책을 접하게 되었고, 오랜 기간 현직교사 경험을 가진 저자가 꼼꼼하게 들여다본 아홉 개의 수업장면이 다름 아닌 오늘날의 학교수업의 현주소요, 미래의 내 모습이 아닐까 하는 두려움을 갖고 보게 되었다. 부모와 아이들에게 어떠한 설명(說明)이나 소통과정 없이 그의 머릿속에 있는 설계도대로 나아갔던 것이다. 왜냐하면 수업은 교사 단독의 것이 아니기 때문일것이다 학생들과 함께 만들어 나가야 하기 때문일것이다 그들의 이해와 동의와 견해도 수용되어져야 하기 때문일것이다
Ⅲ. 무엇을 시사하고 있는가
`수업을 왜 하는가` 라는 이 책은 그동안 너무나 당연시해왔던 수업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를 던져준다. 그렇다면 수업은 무엇이며, 우리는 수업을 통해 무엇을 아이들과 나누어야 하며, 어떤 수업이 좋은 수업인가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한다. 교사가 수업능력이 없다면, 수업에서 인정받지 못한다면 도대체 무엇으로 인정받아야 하는가? 교사의 가장 핵심 업무인 수업은 어떤 이유와 핑계를 대어서도 소홀히 다루어질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비판을 토대로 좀 더 나은 수업, 좋은 수업을 향해 일보 전진할 수 있으리란 희망을 가져보면서 이 책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 보자.[유아교육학]수업을왜하지 , [유아교육] 수업을 왜 하지? - 수업으로 읽는 우리 교육사범교육레포트 ,
![[유아교육]%20수업을%20왜%20하지%20-%20수업으로%20읽는%20우리%20교육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C%A0%EC%95%84%EA%B5%90%EC%9C%A1%5D%20%EC%88%98%EC%97%85%EC%9D%84%20%EC%99%9C%20%ED%95%98%EC%A7%80%20-%20%EC%88%98%EC%97%85%EC%9C%BC%EB%A1%9C%20%EC%9D%BD%EB%8A%94%20%EC%9A%B0%EB%A6%AC%20%EA%B5%90%EC%9C%A1_hwp_01.gif)
![[유아교육]%20수업을%20왜%20하지%20-%20수업으로%20읽는%20우리%20교육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C%A0%EC%95%84%EA%B5%90%EC%9C%A1%5D%20%EC%88%98%EC%97%85%EC%9D%84%20%EC%99%9C%20%ED%95%98%EC%A7%80%20-%20%EC%88%98%EC%97%85%EC%9C%BC%EB%A1%9C%20%EC%9D%BD%EB%8A%94%20%EC%9A%B0%EB%A6%AC%20%EA%B5%90%EC%9C%A1_hwp_02.gif)
![[유아교육]%20수업을%20왜%20하지%20-%20수업으로%20읽는%20우리%20교육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C%A0%EC%95%84%EA%B5%90%EC%9C%A1%5D%20%EC%88%98%EC%97%85%EC%9D%84%20%EC%99%9C%20%ED%95%98%EC%A7%80%20-%20%EC%88%98%EC%97%85%EC%9C%BC%EB%A1%9C%20%EC%9D%BD%EB%8A%94%20%EC%9A%B0%EB%A6%AC%20%EA%B5%90%EC%9C%A1_hwp_03.gif)
![[유아교육]%20수업을%20왜%20하지%20-%20수업으로%20읽는%20우리%20교육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C%A0%EC%95%84%EA%B5%90%EC%9C%A1%5D%20%EC%88%98%EC%97%85%EC%9D%84%20%EC%99%9C%20%ED%95%98%EC%A7%80%20-%20%EC%88%98%EC%97%85%EC%9C%BC%EB%A1%9C%20%EC%9D%BD%EB%8A%94%20%EC%9A%B0%EB%A6%AC%20%EA%B5%90%EC%9C%A1_hwp_04.gif)
![[유아교육]%20수업을%20왜%20하지%20-%20수업으로%20읽는%20우리%20교육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C%A0%EC%95%84%EA%B5%90%EC%9C%A1%5D%20%EC%88%98%EC%97%85%EC%9D%84%20%EC%99%9C%20%ED%95%98%EC%A7%80%20-%20%EC%88%98%EC%97%85%EC%9C%BC%EB%A1%9C%20%EC%9D%BD%EB%8A%94%20%EC%9A%B0%EB%A6%AC%20%EA%B5%90%EC%9C%A1_hwp_05.gif)
![[유아교육]%20수업을%20왜%20하지%20-%20수업으로%20읽는%20우리%20교육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C%A0%EC%95%84%EA%B5%90%EC%9C%A1%5D%20%EC%88%98%EC%97%85%EC%9D%84%20%EC%99%9C%20%ED%95%98%EC%A7%80%20-%20%EC%88%98%EC%97%85%EC%9C%BC%EB%A1%9C%20%EC%9D%BD%EB%8A%94%20%EC%9A%B0%EB%A6%AC%20%EA%B5%90%EC%9C%A1_hwp_06.gif)
[유아교육] 수업을 왜 하지? - 수업으로 읽는 우리 교육
레포트/사범교육
순서
나는 교사가 될 한 사람으로서 나의 주 업무가 될 수업의 자리를 학원에 내준 것이 무척 자존심이 상한다. 그동안 수업은 평가의 대상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Download : [유아교육] 수업을 왜 하지 - 수업으로 읽는 우리 교육.hwp( 62 )
나는 교사가 될 한 사람으로서 나의 주 업무가 될 수업의 자리를 학원에 내준 것이 무척 자존심이 상한다. 그의 머리 속에 있던 설계도가 얼마나 훌륭한 것이고, 아이들을 위한 엄청난 노력과 연구의 댓가로 얻어진 값진 것인가에 대한 설명(說明)이 없이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습관적으로 행해왔던 수업이 진정 지향해야 할 바는 무엇이며, 교사가 수업에 임하는 자세는 어떠해야 하는지, 또한 교사에게 있어 무엇보다 소중한 본연의 업무가 또한 수업이라는 점을 일깨워 준 책이다. 아이들도 부모들도 그의 머리 안에 든 구상과 청사진을 보기를 원했던 것이다. 그렇다면 수업은 무엇이며, 우리는 수업을 통해 무엇을 아이들과 나누어야 하며, 어떤 수업이 좋은 수업인가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한다.
,사범교육,레포트
이 책은 아홉 개의 수업장면을 눈에 보듯 사실적으로 그려낸 후에 이에 대한 저자의 비평과 analysis(분석) 으로 구성되어 있다아 저자와 함께 수업을 따라가면서 하나하나의 수업장면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analysis(분석) 하고 비판하게 되었다. 저자와 함께 수업을 따라가면서 하나하나의 수업장면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분석하고 비판하게 되었다. 교사가 수업능력이 없다면, 수업에서 인정받지 못한다면 도대체 무엇으로 인정받아야 하는가? 교사의 가장 the gist 업무인 수업은 어떤 이유와 핑계를 대어서도 소홀히 다루어질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의문을 갖게 되면서 ‘수업을 왜 하지?’ 라는 책을 접하게 되었고, 오랜 기간 현직교사 경험을 가진 저자가 꼼꼼하게 들여다본 아홉 개의 수업장면이 다름 아닌 오늘날의 학교수업의 현주소요, 미래의 내 모습이 아닐까 하는 두려움을 갖고 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