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대 - 우리동네김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21 12:37
본문
Download : 인문대 - 우리동네김.hwp
소설집으로 「장한몽」(1972), 「해벽(海壁)」(1974), 「관촌 수필」(1977), 「우리 동네」(1981), 「유자소전」(1993) 등이 있따
2.작품 줄거리
연작(連作)으로 된 {우리 동네} 가운데서 가장 긴 [우리 동네 황씨]는 농촌의 안방에 침투한 텔레비전, 선풍기, 그리고 농약 공해로 자취가 뜸해진 곤충, 농촌의 고리채, 부재 지주(不在地主)의 증가, 농민 위에 군림하는 관료, 농협을 악용하는 모리배, 고추에 농약을 마구 뿌리는 악덕 농민, 이리저리 수탈당하는 농민의 실상 등을 절실하게 그리고 있따 이문구의 순박하면서도 날카로운 비판은 {우리 동네} 연작의 도처에서 발견된다
민방위 교육을 풍자한 [우리 동네 김씨], 농촌 아이들에게까지 번진 망년회와 농촌 부녀자들의 관광 여행·고고춤과 농협의 변칙 운영과 조미료 중독과 도박 풍조를 그린 [우리 동네 이씨], 도시인들의 사냥 공해와 농민의 자녀가 관련된 노사(勞使) 문제를 다룬 [우리 동네 최씨], 모내기에 동원되어 주민을 골탕 먹이려고 데모를 하는 고등학생과 통대(統代)와 사기꾼의 행각을 묘사한 [우리 동네 정씨] 등이 그것이다.
이 중, 농민이 소외되는 농촌 근대화의 허구와 수매(收買) 비리를 파헤친 [우리 동네 정씨]는 바로 70년대 이후 농촌의 축도(縮圖)라고 할 수 있따 옛날의 농촌과는 엄청나게 달라진 모습이다.
,감상서평,레포트
1.작가 紹介(소개)
이문구(1941~ ) : 충남 보령 출생. 서라벌 예대 문예창작과 졸업. 1966년 「현대문학」에 <다갈라 불망비(不忘碑)>와 <백결(百結)>을 발표하면서 등단한 후, 사실적인 묘사와 해학의 기법을 통해 도시화 근대화에 의해 붕괴되는 농촌 사회의 모습을 그리는 데 힘썼다. [인문대]-우리동네김 , 인문대 - 우리동네김감상서평레포트 ,
순서
Download : 인문대 - 우리동네김.hwp( 29 )
인문대 - 우리동네김


[인문대]-우리동네김
다.
인문대 - 우리동네김에 대한 reference(자료)입니다. 한국창작문학상, 한국문학작가상을 수상했으며,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이사와 자유실천 문인협의회 간사를 역임하였다. 농민들은 현실 감각과 자신의 권리 의식을 갖게 되었으며, 농협이나 면직원들과 어울린 자리에서건 민방위 교육장, 영농 교육장에서건 불평 불만을 말할 줄 …(투비컨티뉴드 )
레포트/감상서평
설명
인문대 - 우리동네김에 대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