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C 대책 기술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5 16:40
본문
Download : EMC 대책 기술.hwp
접지저항의 크기에 따른 낙뢰 보호property(특성)
1. 낙뢰의 발생과 피해
낙뢰의 발생은 급격한 기류변동과 온도change(변화)에 의해 대기가 대전되어 있따 전위가 낮은 구름 간에 또는 대지로 방전하는 현상으로 말하는데 낙뢰는 인류역사(歷史)와 함께 해왔고 이에 대한 많은 연구도 수행되었다.
뿐만 아니라 낙뢰의 의사시험시 높은 전압을 인가하면 과전압보호소자의 property(특성)을 완전하게 시험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오히려 낮은 전압(대략 2~4kV)으로 반복적인 시험시 과전압보호소자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따
또한 낙뢰 다발지역에서는 발생빈도수에 따라 과전압 보호소자를 교체해 줄 필요가 있따
3. 접지저항의 크기에 따른 낙뢰보호 property(특성)change(변화)
낙뢰보호는 접지저항의 크기와 매우 밀접한 property(특성)을 갖는다.
순시과전압 보호소자는 응답속도, 전류내량, 정전용량, 누설전류에 따라 선택되며 삽입위치는 전원선과 통신선의 입력단에 삽입한다.
레포트/인문사회
EMC대책기술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설명
EMC 대책 기술
다.
다음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회로에서 접지저항이 4.5Ω인 경우와 1.5Ω인 경우를 비교했을 때 보호회로 후단의 2차측 전압이 18.5V, 13.7V로 4.5V정도 보호property(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따 따라서 접지저항은 낮게 접지선의 굵기는 굵게, 접지선의 길이는 짧게 하는 것이 낙뢰 및 전자파로 인한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따…(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EMC 대책 기술.hwp( 78 )
EMC 대책 기술에 대한 자료입니다. EMC대책기술 , EMC 대책 기술인문사회레포트 ,
EMC 대책 기술에 대한 資料입니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낙뢰보호 소자의 삽입위치를 잘못 알고 있는데 순시과 전압 보호소자는 선간 즉, 활선과 중선선에 삽입하는(Normal Mode) 것보다 1선과 대지간(Common Mode)에 2개를 삽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낙뢰의 전기적 에너지는 엄청난 양으로 해마다 여름이면 구릉지가 많은 도시의 가전제품 등에 많은 피해를 준다.
2. 낙뢰 보호회로
일반적으로 건물상단에 피뢰침을 부착하여 대전된 구름의 전하를 대지로 방전하기 전에 대지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물리적인 방법이 있으며 전자회로적으로는 순시과전압 보호소자를 사용하여 회로를 보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