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박종현 교수님 독서록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14:52본문
Download : 연세대 박종현 교수님 독후감.hwp
이 단락을 읽으며, 각각의 생산요소가 최대한의 효율을 낼 수 있는 일에 투입되는 것, 즉 분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사회적으로 최적의 효율을 내는 생산에 기여한다는 경제 theory 이 떠올랐다. 그리고 그는 진정한 사회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웃과 함께 공유자원을 쓸 때 발생하는 외부효율(다른 사람을 생각하지 않고 행동함으로써 제 3자…(skip)
연세대,박종현,교수님,독후감,감상서평,레포트
설명
연세대 박종현 교수님 독후감 , 연세대 박종현 교수님 독후감감상서평레포트 , 연세대 박종현 교수님 독후감





Download : 연세대 박종현 교수님 독후감.hwp( 50 )
순서
연세대 박종현 교수님 독서록
레포트/감상서평
다. 책에서 드러난 호세마리아 신부의 교육, 자유, 협동 등에 대한 생각은 어떤 부분들은 매우 공감이 되고, 어떤 부분들은 너무 이상적으로 보이기도 하며, 나의 생각과 극명하게 대비되는 내용도 종종 있었다. 부끄러운 일이지만, 이전까지는 협동조합을 사회경제적으로 어려운 집단을 돕는 공동체라고 생각했다.연세대 박종현 교수님 독서록
호세 마리아 신부의 생각과 나의 생각
요점
협동조합이라는 단체의 의미나 역할은 나에게 너무 생소했다.
책을 읽으며 책임에 대한 호세 마리아 신부의 생각은 경제학의 theory 과 맞닿아 있다고 느꼈고, 그 결과 그의 생각을 잘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책을 통해 협동조합이 단순히 경제적으로 약소한 집단의 경제적 처지를 improvement시키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자본이 노동에 예속되도록 하여 기업에서의 소유와 경영의 성격 자체를 바꾸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자본이 아닌, 사람을 목적으로 하는 협동조합의 발전을 위하여 호세 마리아 신부는 몇 가지 안 되지만 key point(핵심) 적인 요소들에 대한 뚜렷한 신념을 이야기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책임, 교육, 노동, 단결, 합리적 이상 등에 대해 역설하며, 이러한 요소들이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하는지도 說明(설명) 한다. 그는 책임감을 갖는다는 것이 자기에게 부과된 것을 그 어느 누구도 완벽히 대신할 수 없다고 여기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 책을 요약하고 논리적 성찰을 하면서, “사회적 경제”의 상징으로 일컬어지는 몬드라곤 협동조합을 설계하고 이끈 호세 마리아 신부의 생각을 체화하고 나아가 호세 마리아 신부의 opinion에 덧붙여서 협동조합의 발전, 그리고 사람들의 발전에 기여할 가능성을 가진 나의 opinion을 제시해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