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송철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1 11:59
본문
Download : 남송철학.hwp
주자는 65세에 황제의 초빙을 받아, 환장각대제(煥章閣待制) 겸 시강(侍講)이라는 벼슬을 받는다. china(중국) 남송 시대의 철학사상가로서 원적은 휘주(徽州) 무원(務源: 지금은 강서성에 속함)사람이고, 1130년 복건(福建)의 우계(尤溪)에서 태어나, 1200년에 죽었다. 주자는 34세 때 스승 이동의 죽음에 이어, 그의 학문 방법에 전환을 가져온 학문의 동료를 만나게 된다 바로 호굉(胡宏)의 제자인 장식(張栻,1133~1180)과의 만남이다.
남송철학
남송철학
다. 장승구 외. 『동양사상의 이해』, 경인문화사 2002 p. 247
유가 철
순서
남송철학 남송철학 남송철학 남송철학 남송철학 남송철학
1) 주자철학사상의 기본 전제 – 천도관(天道觀)
남송철학
.
남송철학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설명
.





남송철학
남송철학
Download : 남송철학.hwp( 49 )
.
남송철학
2. 주자의 철학 사상 체계
남송철학
주자는 그의 나이 24세 이전 즉 성리학의 스승 이동(李侗, 1093~1163)을 만나기 이전까지, 선진유가·불교·도가사상 및 歷史(역사) 등 광범하게 china(중국) 전통문화와 사상을 익혔으며, 특히 14세 때부터는 부친의 유언에 따라 부친의 친구인 유자휘(劉子翬)·유면지(劉勉之:주자의 장인)·호헌(胡憲)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주자는 24세에 이동을 만나면서 자신의 학문 방향과 방법에 큰 變化를 가져왔다. 그의 나이 34세에 이동이 죽을 때까지 10여 년간 이동의 가르침을 통하여, 유가사상과 불교·도가사상과의 본질적인 차이점을 자각하고, 성리학적 입장에서 유가 경전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게 되었다. 그는 생사에 주로 복건의 숭안(崇安)과 건양(建陽)에 거주하면서 학문을 강론하였기 때문에, 그 지역의 전통적인 지명이름을 본 따서 그의 학파를 송대의 다른 학파와 구별하여 ‘민학(閩學)’이라고도 부른다. 장승구 외. 『동양사상의 이해』, 경인문화사 2002 p. 248~252
남송철학
주자(朱子)는 이름이 희(熹)이고, 자는 원회(元晦) 혹 중회(仲晦)이며, 호는 회암(晦庵)이다. 40세 이후 즉 중화신설 확정 이후 주자의 학문과정은, 중화신설을 기반으로 하고 정이의 철학체계를 위주로 하여, 북송의 성리학을 비판적으로 종합·계승하면서 자신의 철학사상체계를 더욱 견고하고 풍부하게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아 50대에 들어서면서 주자는 다시 지방관리 생활을 시작하여, 60대 까지 몇 次例 지방행정이 실무를 담당한다. 주자는 40세에 역시 학문 동료인 채원정(蔡元定)과의 토론 중에 홀연히 중화구설을 의심하게 되고, 다시 이정이 서적을 검토하면서, 자신의 심성론 및 공부수양론의 정설이라고 할 수 있는 ‘중화신설(中和新說)’의 체계를 확립한다.
주자는 북송시대에 전개된 성리학을 비판적으로 종합 ․ 계승하여 그 학문체계를 완성 하였다는 점에서 성리학의 집대성자라고 할 수 있으며, 공자 맹자 이후 유학의 정신을 새롭게 드높였다는 점에서 신유학의 대표자라고 할 수 있다아 특히 그의 철학사상은 china(중국) 뿐 아니라 우리나라를 위시한 동남아 유교문화권에 오백년 이상 정신적인 지주역할을 할 정도로 지대한 effect(영향) 력을 끼친 매우 중요한 전통사상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