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 및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0 16:46
본문
Download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 및 검토.hwp
또한크리프 및 건조수축 등의 재료적인 원인(原因)에 의해서도 발생하게 된다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하면 철근의 부식과 처짐을 유발하고 내하력 및 성능을 저하시킨다. 그러나 Gergely-Lutz의 제안식은 기존 연구자들의 實驗(실험) reference(자료)의 통계적 analysis을 바탕으로 제안된 식으로 theory(이론)적 근거가 부족하다. 그러나 균열은 부착 특성(特性), 부착 전달길이, 피복 두께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크기를 정확히 예측하기 어려운 복잡한 현상이다. 반면 MC90 및 EC2에서는 재료모델 및 theory(이론)을 바탕으로 최대균열간격에 철근과 콘크리트의 mean(평균)변형률 차의 곱으로 균열폭을 산정한다. 현재까지도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균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그 관계가 명확하게 정이되어 있지않고 대부분 實驗(실험) 및 경험에 근거하고 있다아 그 중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균열폭산정식으로는 CEB/FIP 모델코드(MC90) 및 유로코드 2(EC2), Gergely-Lutz에의한 제안식 등이 있다아 일반적으로 균열 검증을 위해서 이러한 제안식을 통해직접 균열폭을 산정하고 이를 허용 균열폭과 비교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아 Gergely-Lutz의 제안식은 식의 형태가 단순하고 계산이 간단하여 실무에서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2003년까지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에 채택되어 사용하였다. 균열은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부재의 구속력에의해서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이 인장강도를 초과할 때 발생한다. 2007년 개정된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에서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균열폭을 산정하도록 제시되어 있다아 그러나 이처럼 직접 균열폭을 계산하여 허용 균열폭과 비교하는 방법은 사용하중상태의 철근 응력이나 단면의 변형률과 같은 복잡한 계수를 파악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아 이에 각 설계 기준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균열을 제어하는 간접균열제어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아 즉, 철근 간격 및 직경이 허용 값 이내로…(省略)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 및 검토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 및 검토공학기술레포트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 및 검토
설명
다.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설계,및,검토,공학기술,레포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 및 검토
레포트/공학기술
순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 및 검토
Download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 및 검토.hwp( 42 )
연구배경 및 목적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 및 검토에 있어 균열은 사용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