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여황제 측천무후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1 16:39
본문
Download : [인문어학] 여황제 측천무후.hwp
그녀의 아버지 무사확은
여황제 측천무후
성신황제(聖神皇帝) 측천무후, 즉 무측천(武則天: 624~705)의 본명은 무조(武照), 당(唐) 고종(高宗)의 황후였으나 고종이 죽은 후에 황제에 등극하였다. 측천무후를 우리 나라에서는 흔히 `칙천무후`라 하기도 하고 심지어 `즉천무후`라 하기도 한다. 이는 한자의 독음으로 빚어진 문제인데, 우리 나라에서 편찬된 자전에서 `則`자의 표준음을 `칙(법칙, 본받다)`과 `즉(곧)`으로 표…(省略)
[인문어학] 여황제 측천무후
![[인문어학]%20여황제%20측천무후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97%AC%ED%99%A9%EC%A0%9C%20%EC%B8%A1%EC%B2%9C%EB%AC%B4%ED%9B%84_hwp_01.gif)
![[인문어학]%20여황제%20측천무후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97%AC%ED%99%A9%EC%A0%9C%20%EC%B8%A1%EC%B2%9C%EB%AC%B4%ED%9B%84_hwp_02.gif)
![[인문어학]%20여황제%20측천무후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97%AC%ED%99%A9%EC%A0%9C%20%EC%B8%A1%EC%B2%9C%EB%AC%B4%ED%9B%84_hwp_03.gif)
![[인문어학]%20여황제%20측천무후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97%AC%ED%99%A9%EC%A0%9C%20%EC%B8%A1%EC%B2%9C%EB%AC%B4%ED%9B%84_hwp_04.gif)
![[인문어학]%20여황제%20측천무후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97%AC%ED%99%A9%EC%A0%9C%20%EC%B8%A1%EC%B2%9C%EB%AC%B4%ED%9B%84_hwp_05.gif)
[인문어학] 여황제 측천무후 , [인문어학] 여황제 측천무후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어학 여황제 측천무후
설명
순서
[인문어학] 여황제 측천무후
다.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어학,여황제,측천무후,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인문어학] 여황제 측천무후.hwp( 65 )
여황제 측천무후
성신황제(聖神皇帝) 측천무후, 즉 무측천(武則天: 624~705)의 본명은 무조(武照), 당(唐) 고종(高宗)의 황후였으나 고종이 죽은 후에 황제에 등극하였다. 황제로 16년간 재위하였지만 실제로는 50여년간 집권을 한 china역싸상 유일무이한 여자황제이다. 이는 한자의 독음으로 빚어진 문제인데, 우리 나라에서 편찬된 자전에서 `則`자의 표준음을 `칙(법칙, 본받다)`과 `즉(곧)`으로 표기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다. 무측천은 황제에 등극한 후에 이름을 `조(明 아래에 空이 있는 글자. 무측천이 새로 만든 글자임)`로 고쳤다. 황제로 16년간 재위하였지만 실제로는 50여년간 집권을 한 china역싸상 유일무이한 여자황제이다. 무측천은 황제에 등극한 후에 이름을 `조(明 아래에 空이 있는 글자. 무측천이 새로 만든 글자임)`로 고쳤다. 그녀의 관적은 병주(幷州) 문수(文水: 지금의 산서성 문수)이다. 측천무후를 우리 나라에서는 흔히 `칙천무후`라 하기도 하고 심지어 `즉천무후`라 하기도 한다.
무측천의 등장...황후가 되기까지
624년(唐 高祖 武德 7년) 1월 23일 무측천은 수도 장안(長安)에서 태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