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상주『동학가사』의 책판 및 판본의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1 18:29본문
Download : [인문어학] 상주`동학가사`의 책판 및 판본의 특징.hwp
이때를 전후하여 1932년까지 동경대전을 비롯한 9종의 경전과 112편의 동학가사를 간행하는 사업을 펼쳐 적극적으로 포교에 임
상주『동학가사』의 책판 및 판본의 특징
`목 차`
Ⅰ. 머리말
Ⅱ. 동학가사의 간행과 유통
Ⅲ. 동학가사의 책판 내역과 특징
Ⅳ. 동학가사의 판본 내역과 특징
Ⅴ. 맺음말
Ⅰ. 머리말
동학은 경상도 경주의 궁벽한 시골 몰락한 양반의 집에서 태어나 갑자기 득도한 崔濟愚(1824~1864)에 의하여 창도되었다. 처음에는 천주교 즉 서학에 대립되는 槪念으로 ‘동학’으로 불렸으나 후에 동학이 북접과 남접으로 나누어지면서 최시형의 북접에서는 손병희에 의해서 천도교 등으로 불렸고, 남접에서는 경천교, 동학교, 청림교 등으로 불리게 되었다. 남접 동학의 교주 金周熙(1860~1944)는 …(省略)
[인문어학] 상주『동학가사』의 책판 및 판본의 특징
![[인문어학]%20상주`동학가사`의%20책판%20및%20판본의%20특징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83%81%EC%A3%BC%60%EB%8F%99%ED%95%99%EA%B0%80%EC%82%AC%60%EC%9D%98%20%EC%B1%85%ED%8C%90%20%EB%B0%8F%20%ED%8C%90%EB%B3%B8%EC%9D%98%20%ED%8A%B9%EC%A7%95_hwp_01.gif)
![[인문어학]%20상주`동학가사`의%20책판%20및%20판본의%20특징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83%81%EC%A3%BC%60%EB%8F%99%ED%95%99%EA%B0%80%EC%82%AC%60%EC%9D%98%20%EC%B1%85%ED%8C%90%20%EB%B0%8F%20%ED%8C%90%EB%B3%B8%EC%9D%98%20%ED%8A%B9%EC%A7%95_hwp_02.gif)
![[인문어학]%20상주`동학가사`의%20책판%20및%20판본의%20특징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83%81%EC%A3%BC%60%EB%8F%99%ED%95%99%EA%B0%80%EC%82%AC%60%EC%9D%98%20%EC%B1%85%ED%8C%90%20%EB%B0%8F%20%ED%8C%90%EB%B3%B8%EC%9D%98%20%ED%8A%B9%EC%A7%95_hwp_03.gif)
![[인문어학]%20상주`동학가사`의%20책판%20및%20판본의%20특징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83%81%EC%A3%BC%60%EB%8F%99%ED%95%99%EA%B0%80%EC%82%AC%60%EC%9D%98%20%EC%B1%85%ED%8C%90%20%EB%B0%8F%20%ED%8C%90%EB%B3%B8%EC%9D%98%20%ED%8A%B9%EC%A7%95_hwp_04.gif)
![[인문어학]%20상주`동학가사`의%20책판%20및%20판본의%20특징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83%81%EC%A3%BC%60%EB%8F%99%ED%95%99%EA%B0%80%EC%82%AC%60%EC%9D%98%20%EC%B1%85%ED%8C%90%20%EB%B0%8F%20%ED%8C%90%EB%B3%B8%EC%9D%98%20%ED%8A%B9%EC%A7%95_hwp_05.gif)
![[인문어학]%20상주`동학가사`의%20책판%20및%20판본의%20특징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EC%96%B4%ED%95%99%5D%20%EC%83%81%EC%A3%BC%60%EB%8F%99%ED%95%99%EA%B0%80%EC%82%AC%60%EC%9D%98%20%EC%B1%85%ED%8C%90%20%EB%B0%8F%20%ED%8C%90%EB%B3%B8%EC%9D%98%20%ED%8A%B9%EC%A7%95_hwp_06.gif)
[인문어학] 상주『동학가사』의 책판 및 판본의 특징 , [인문어학] 상주『동학가사』의 책판 및 판본의 특징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어학 상주『동학가사』 책판 판본 특징
설명
순서
[인문어학] 상주『동학가사』의 책판 및 판본의 특징
다.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어학,상주『동학가사』,책판,판본,특징,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인문어학] 상주`동학가사`의 책판 및 판본의 특징.hwp( 65 )
상주『동학가사』의 책판 및 판본의 특징
`목 차`
Ⅰ. 머리말
Ⅱ. 동학가사의 간행과 유통
Ⅲ. 동학가사의 책판 내역과 특징
Ⅳ. 동학가사의 판본 내역과 특징
Ⅴ. 맺음말
Ⅰ. 머리말
동학은 경상도 경주의 궁벽한 시골 몰락한 양반의 집에서 태어나 갑자기 득도한 崔濟愚(1824~1864)에 의하여 창도되었다. 처음에는 천주교 즉 서학에 대립되는 槪念으로 ‘동학’으로 불렸으나 후에 동학이 북접과 남접으로 나누어지면서 최시형의 북접에서는 손병희에 의해서 천도교 등으로 불렸고, 남접에서는 경천교, 동학교, 청림교 등으로 불리게 되었다. 남접 동학의 교주 金周熙(1860~1944)는 1915년을 전후하여 동학교의 교당을 상주시 은척면 우기리에 설립하는데 그가 창도한 동학교는 1922년에 총독부로부터 공인을 얻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