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 논문]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영화 속 과학 시리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05 11:34
본문
Download : [물리학 논문]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영화 속 과학 시리즈.hwp
자기 살이 아닌 남의 살이 몸에 붙으면 우리 몸은 이것을 침입자로 간주, 몰아 내는 작업에 착수하는데 이런 작업을 이식 거부라고 부른다.
이식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는데
- 일란성 쌍동이끼리 조직을 이식하는 isograft
- 사람과 사람처럼 같은 종끼리 이루어지는 allograft
- 다른 종 사이에 이루어지는 xenograft
로 구분할 수 있다
케이지와 트라볼타는 절대 일란성 쌍동이가 아니므로 이 경우의 피부 이식은 두 번째인 allograft에 해당한다.
단지 얼굴 피부만을 바꾼다고 해서 얼굴자체가 바뀌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눈썹이나 입술모양이야 피부이식으로 달라지겠지만 얼굴의 윤곽과 전체적인 형태, 굴곡을 결정하는 것은 결국 얼굴 골격과 거기에 붙어있는 근육이다.[물리학,논문],재미있는,과학,이야기-영화,속,과학,시리즈,공학기술,레포트
![[물리학%20논문]%20재미있는%20과학%20이야기-영화%20속%20과학%20시리즈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C%BC%EB%A6%AC%ED%95%99%20%EB%85%BC%EB%AC%B8%5D%20%EC%9E%AC%EB%AF%B8%EC%9E%88%EB%8A%94%20%EA%B3%BC%ED%95%99%20%EC%9D%B4%EC%95%BC%EA%B8%B0-%EC%98%81%ED%99%94%20%EC%86%8D%20%EA%B3%BC%ED%95%99%20%EC%8B%9C%EB%A6%AC%EC%A6%88_hwp_01.gif)
![[물리학%20논문]%20재미있는%20과학%20이야기-영화%20속%20과학%20시리즈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C%BC%EB%A6%AC%ED%95%99%20%EB%85%BC%EB%AC%B8%5D%20%EC%9E%AC%EB%AF%B8%EC%9E%88%EB%8A%94%20%EA%B3%BC%ED%95%99%20%EC%9D%B4%EC%95%BC%EA%B8%B0-%EC%98%81%ED%99%94%20%EC%86%8D%20%EA%B3%BC%ED%95%99%20%EC%8B%9C%EB%A6%AC%EC%A6%88_hwp_02.gif)
![[물리학%20논문]%20재미있는%20과학%20이야기-영화%20속%20과학%20시리즈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C%BC%EB%A6%AC%ED%95%99%20%EB%85%BC%EB%AC%B8%5D%20%EC%9E%AC%EB%AF%B8%EC%9E%88%EB%8A%94%20%EA%B3%BC%ED%95%99%20%EC%9D%B4%EC%95%BC%EA%B8%B0-%EC%98%81%ED%99%94%20%EC%86%8D%20%EA%B3%BC%ED%95%99%20%EC%8B%9C%EB%A6%AC%EC%A6%88_hwp_03.gif)
![[물리학%20논문]%20재미있는%20과학%20이야기-영화%20속%20과학%20시리즈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C%BC%EB%A6%AC%ED%95%99%20%EB%85%BC%EB%AC%B8%5D%20%EC%9E%AC%EB%AF%B8%EC%9E%88%EB%8A%94%20%EA%B3%BC%ED%95%99%20%EC%9D%B4%EC%95%BC%EA%B8%B0-%EC%98%81%ED%99%94%20%EC%86%8D%20%EA%B3%BC%ED%95%99%20%EC%8B%9C%EB%A6%AC%EC%A6%88_hwp_04.gif)
![[물리학%20논문]%20재미있는%20과학%20이야기-영화%20속%20과학%20시리즈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C%BC%EB%A6%AC%ED%95%99%20%EB%85%BC%EB%AC%B8%5D%20%EC%9E%AC%EB%AF%B8%EC%9E%88%EB%8A%94%20%EA%B3%BC%ED%95%99%20%EC%9D%B4%EC%95%BC%EA%B8%B0-%EC%98%81%ED%99%94%20%EC%86%8D%20%EA%B3%BC%ED%95%99%20%EC%8B%9C%EB%A6%AC%EC%A6%88_hwp_05.gif)
![[물리학%20논문]%20재미있는%20과학%20이야기-영화%20속%20과학%20시리즈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C%BC%EB%A6%AC%ED%95%99%20%EB%85%BC%EB%AC%B8%5D%20%EC%9E%AC%EB%AF%B8%EC%9E%88%EB%8A%94%20%EA%B3%BC%ED%95%99%20%EC%9D%B4%EC%95%BC%EA%B8%B0-%EC%98%81%ED%99%94%20%EC%86%8D%20%EA%B3%BC%ED%95%99%20%EC%8B%9C%EB%A6%AC%EC%A6%88_hwp_06.gif)
레포트/공학기술
순서
제 출 일 : 2004. 12. 12
담당교수 : 박종대 교수님
졸업논문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이 름: 구 혜 정
학 번: 0043006
학 과: 전산전자물리학과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 영화 속 과학 시리즈
페이스 오프
생각해 볼 문제
1. 피부이식을 통하여 얼굴을 서로 바꿔 치기 할 수 있을까?
2. 목소리를 바꿀 수 있는가?
읽어보기)
1번 문제에 대하여
답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조직 항원을 서로 맞는다면 이식에 성공할 수 있는데, 일란성 쌍동이는 HLA 타입이 동일하므로 성공할 확률이 높다. 가족의 경우는 HLA 항…(생략(省略))
Download : [물리학 논문]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영화 속 과학 시리즈.hwp( 22 )
[물리학 논문]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영화 속 과학 시리즈
설명
[물리학 논문]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영화 속 과학 시리즈
[물리학 논문]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영화 속 과학 시리즈 , [물리학 논문]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영화 속 과학 시리즈공학기술레포트 , [물리학 논문]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영화 속 과학 시리즈
다. 첫번째 방법인 Isograft의 경우 이식 성공률이 높지만, 그 외의 경우 멋 모르고 그냥 떼어 붙였다가는 실패하게 된다
그럼 언제 성공하고 실패하는가? 우리 몸의 면역계가 이식된 조직을 내 몸인 줄 착각하면 이식이 성공하는 것이고, 남의 살이란 걸 깨달으면 실패하는 것이다. 이 구분에는 HLA라고 불리는 항원 그룹이 중요하게 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