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동증폭기와 전류미러(Current mirror)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17 11:25
본문
Download : 차동증폭기와 전류미러(Current mirror).hwp
좋은 참고 자료로 사용하시고 모두 좋은 성적 거두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림 2-4]는 부하저항으로 전류미러를 사용한 회로이다.
좋은 참고 data(資料)로 사용하시고 모두 좋은 성적 거두었으면 좋겠습니다.
Ⅰ.차동증폭기
1.목적
2.차동증폭기
3. test(실험) 과정 예측
4. Simulation
5. Simulation 고찰
6. Simulation 결과
Ⅱ.전류미러(Current Mirror)
1.목적
2. 전류미러
3. test(실험) 과정 예측
4. Simulation
5. Simulation 고찰
6. Simulation 결과
앞서 차동전압이득은 다음과 같이 유도하였다.
레포트/공학기술
차동증폭기와 전류미러(Current mirror)실험 리포트입니다.
콜렉터전류를 흘려주기 위한 이 RC값의 제한은 전압이득을 제한시키는 것과 등가가 되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능동부하를 사용한다. , 차동증폭기와 전류미러(Current mirror)공학기술레포트 ,
차동증폭기와 전류미러(Current mirror)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순서
Download : 차동증폭기와 전류미러(Current mirror).hwp( 22 )
다. 그림은 부하저항으로 전류미러를 사용한
회로이다.
예를 들어 콜렉터공급 전압이 +15V이면 +7.5V의 VC가 되는 저항을 선택한다. A=RC/2re
이 식에서 RC를 크게하면 할수록 차동전압이득은 더욱 커짐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주의할 것은 RC를 너무 크게하면 우측transistor(트랜지스터) 가 포화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설계시는 정지전압이 VCC의 거의 반이 되도록 RC를 선정한다.
여기서 Q5는 보상다이오드와 같이 동작하므로 매우 낮은 임피이던스를 가지며,
Q1의 부하는 거의 교류적으로 단락된다 반면…(省略)
차동증폭기와 전류미러(Current mirror)실험 리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