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훈 시조의 문학적 토대와 작가의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30 08:42
본문
Download : 정훈 시조의 문학적 토대와 작가의식.hwp
김기동, 「다시 써야 할 이조문학사』, 389면.
Download : 정훈 시조의 문학적 토대와 작가의식.hwp( 67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水南放翁 鄭勳(1563~1640)은 1970년대에 그의 水南放翁遺稿와 慶州鄭氏世稿 중의 放翁遺稿가 발굴됨으로써 6편의 가사 <聖主中興歌>, <歎窮歌>, <迂闊歌>, <龍湫游詠歌>, <水南放翁歌>, <憂喜國事歌>등이 바로 그것인데, 이 외에도 <慰流民歌>라는 가사 또한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정훈 시가에 대한 논의는 박요순 박요순, 「정훈과 그의 시가고」, 『숭전어문학』2집, 숭전대국어국문학연구회, 1973.





.
정훈 시조의 문학적 토대와 작가의식
정훈 시조의 문학적 토대와 작가의식
.
가 data(자료)의
다. 정훈 시조의 문학적 토대와 작가의식
정훈 시조의 문학적 토대와 작가의식
정훈 시조의 문학적 토대와 작가의식
정훈 시조의 문학적 토대와 작가의식 정훈 시조의 문학적 토대와 작가의식 정훈 시조의 문학적 토대와 작가의식
.
정훈 시조의 문학적 토대와 작가의식
설명
순서
이처럼 정훈의 국문 시가 작품들이 발굴, 소개됨으로써 지금껏 가사와 시조를 창작한 시인으로 송강과 노계밖에 없었던 것으로 파악해 왔던 기존의 문학사 기술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들에게 있어 국문시가는 한시보다 중요한 자기 표현수단으로 인식되었기에 많은 수의 작품을 창작했고 자신만의 세계상과 언어적 특질을 구축하였다. 필사본 水南放翁遺稿에는 水南放翁鄭公家藏行蹟(朴世采 撰), 孝子水南放翁君墓碑銘幷序(朴世采 撰), 水南放翁遺稿序(朴弼周 序), 祭文(盧亨叙 撰) 및 漢詩, 국문으로 된 시조 20수와 <聖主中興歌>, <歎窮歌>, <迂闊歌>, <龍湫游詠歌>, <水南放翁歌> 등 가사 5편이 실려 있다아 그리고 목판본 慶州鄭氏世稿에는 放翁遺稿序(박필주, 李惟精序), 제문(노형서찬), 放翁公墓碑銘幷序(박세채찬), 龍城誌, 節義綠, 褒揚狀, 漢詩, 시조 한역가의 가사 <憂喜國事歌>, <聖主中興歌>의 한역가가 실려 전하고 있다아 김문기, 위의 글, 99~100면.
과 하성래 하성래, 「가사문학의 새 거봉」, 『문학사상』8호, 문학사상사, 1973.
더군다나 그의 국문 시가는 ‘남원재지사족’이라는 사회적 위치와 향촌사회의 변모, 전쟁이나 당쟁 등과 같은 17세기적 특수성과 맞물려 다양한 모습을 표출해 냈다는 점에서 더욱더 주목되었다. 주지하듯이 중앙정계에 진출한 경험이 전혀 없으면서 향촌 사회에서도 지배적 위치에 있지 못한 처지의 인물들인 재지사족은 자신들의 처지와 관념을 적극적으로 국문시가로 표현했다. 정훈 역시 17세기 문학사의 한 국면을 차지하고 있던 재지사족의 일원으로서 그의 작품 역시 이 시기 재지사족들이 보여준 다양한 양상 곧 강호, 우국, 궁핍, 우활, 안빈, 오륜 등과의 맥락 속에서 이해되었다. 이는 ‘見趙玄谷流民歌歎卽作慰流民歌以悲之(趙玄谷의 유민탄을 보고 곧 유민을 위로하는 노래를 지어 슬퍼하였다).’라는 기록에서, 이 작품이 가사인지 시조인지 확정할 수는 없으나 조위한의 가사 <流民歎>을 보고 지었다는 사실과 유민을 위로하는 노래라는 것으로 볼 때, 비록 작품은 전하지 않지만 <慰流民歌> 또한 정훈이 지은 가사로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김문기, 「정훈의 <우희국사가>고찰」, 『국어교육연구』31집, 국어교육학회, 1999, 100면.)
와 20수의 시조를 남긴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작가 중 한 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