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의 향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14:06
본문
Download : 남북한의 향가.hwp
8구체는 넉 줄에 다시 넉줄을 더한 모습을 보여 주는 형식인데 남아 전하는 수효가 많지 않다는 점과 두 작품의 성격이 서정과 무속으로 판이하다는 점에서 8구체는 10구체의 중간적 과도기적 양식으로 볼 수 있다
「삼구육명」의 원칙을 구현하여 정형시가로서의 characteristic(특성)을 갖추게 된 10구체의 향가는 크게 3개의 분절로 나누어지는데 앞의 두 분절은 각각 4개의 시행으로 구성된다 마지막 분절은 보통 락구라고 부르는데 이 락구는 두 개의 시행으로 이루어진다.
10구체 향가의 시구들을 보면 첫 시행은 매우 짧고 전체적으로 기수에 해당되는 시행이 우수에 해당되는 시행보다 짧으며 락구에 감탄사가 도입되는 것이 특징적이…(省略)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다. 이 중 가장 단순한 형태가 4구체인데 그 형식이 단순한 것처럼 내용도 매우 단순하다.
설명
남북한의 향가
Download : 남북한의 향가.hwp( 93 )
남북한의향가
,인문사회,레포트
남북한의향가 , 남북한의 향가인문사회레포트 ,
Ⅰ. 서론
Ⅱ. 본론
1. 향가의 발생과 명칭
2. 작자계층
3.향가의 형식
4. 향가 작품의 주제별 분류
5. 작품分析
6. 향가의 쇠퇴
7. 향가 창작의 의의
Ⅲ. 결론
서지사항
3.향가의 형식
향가는 한 작품을 이루는 초기의 향가 형태인 소위 4구체, 8구체, 향가의 대표적인 가장 발달된 형태인 10구체가 있다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는 4구체이며 <처용가>, <모죽지랑가>는 8구체이고 <혜성가>, <찬기파랑가>, <안민가>, <원가>, <우적가>, <제망매가>, <원왕생가>, <도천수관음가>, <보현시원가> 11수 모두는 10구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