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심천의 유래(由來)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0 13:11
본문
Download : 무심천의 유래.hwp
이점으로 보아 구한말까지 무심천의 formula(공식)명칭은 ‘대교천’이었음을 알 수 있따
1923년 日本 사람 오오꾸마 쇼지(大態春峰)가 쓴 ‘청주연혁지’를 보면 무심천에 관한 기록이 자주 등장한다. 동국여지승람에는 현재의 무심천을 대교천(大橋川)으로 기록하고 있따 여기에서 ‘대교’란 땅속에 묻혀있는 남석교(南石橋)를 일컬음이다. 동국여지승람에는 현재의 무심천을 대교천(大橋川)으로 기록하고 있...
,법학행정,레포트
Download : 무심천의 유래.hwp( 19 )
설명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무심천’의 어원과 언제부터 그렇게 불리웠나에 대해선 학계의 의견이 분분하다. ‘무심천’의 어원과 언제부터 그렇게 불리웠나에 대해선 학계의 의견이 분분하다. 동국여지승람에는 현재의 무심천을 대교천(大橋川)으로 기록하고 있... , 무심천의 유래법학행정레포트 ,
‘무심천’의 어원과 언제부터 그렇게 불리웠나에 대해선 학계의 opinion이 분분하다.
98년 8월, 국립청주박물관에서는 영남대 소장 ‘한국 옛 지도전’을 열고 있었는데 호서전도(湖西全圖)중 ‘청주목 지도’에 붓 글씨로 깨알같이 표기된 ‘무심천’이름을 찾아낸 것이다. 서원향토사연구회원인(原因) 필자는 이러한 사실을 중부매일에 보도하였다. 즉 일제때부터는 ‘무심천’이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됐음을 알 수 있따
지금까지는 ‘대교천’에서 ‘무심천’으로 천명(川名)이 바뀐 것이 구한말, 또는 일제 초기로 추정하였으나 지난 98년 서원향토사연구회에 의해 18세기 후반에도 ‘무심천’이라는 천명을 보편적으로 사용했다는 사실이 밝혀져 종전의 추론이 잘못되었음을 비로소 알게 되었다.(98년 8월 25일자)
가로 19센치, 세로 15.8센치 크기의 이 지도는 책색 필사본인데 제작자는 알 수 없…(투비컨티뉴드 )
무심천의 유래(由來)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