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색체 돌연변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18:39
본문
Download : 염색체 돌연변이.hwp
-결실의 표현형적인 影響(영향)은 결실된 부위에 어떤 유전자가 위치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결실 염색체를 이형접합으로 가지고 있으면 제1감수분열전기에서 정상부분은 정상적인 상동염색체배열과 접합을 하지만 접합할 상대가 없는 정상염색체의 결실된 부위의 상동부위는 고리구조를 형성한다.
동형접합중복은 두 개의 상동염색체가 모두 중복된 경우
이형접합은 상동염색체쌍이 염색체의 전체길이에 관련되어 상동성을 가지지 못하므로 제1감수분열 전기 염색체접합 시에 문제가 발생한다.설명





염색체,돌연변이,기타,레포트
염색체 돌연변이 , 염색체 돌연변이기타레포트 , 염색체 돌연변이
순서
Download : 염색체 돌연변이.hwp( 38 )
레포트/기타
염색체 돌연변이
※염색체 돌연변이
(그림9.3) 염색체 돌연변이의 형태
#염색체 재배열: 염색체의 구조를 변경시키는 돌연변이다.
-중복은 표현력에 중요한 影響(영향)을 미친다. 만일 결실된 단편의 동원체가 있다면 이 염색체는 세포분열시 분리가 안 되어 곧 소실된다 결실을 동형접합으로 가지고 있으면 결실된 부분에 중요한 유전자들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시사한다.
-결실된 염색체를 이형접합으로 가지고 있다고 하여도 결함을 보이는 세 가지 이유
이형접합조건은 여분의 염색체 단편을 가지고 있는 경우와 유사…(투비컨티뉴드 )
염색체 돌연변이
다.
-중복: 염색체의 일부분이 이중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중복에 의해서는 유전자염기서열의 변형과 유전정보의 소실이 없지만 유일한 alteration(변화) 는 정상적인 염기서열들을 1개 복사본 더 가지고 있을 뿐이다.
-만일 중복된 부위가 원래의 단편으로부터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면 이러한 형태의 염색체 재배열은 대체중복이라 한다.
-결실: 염색체 단편이 소실되는 것이다.
-중복된 부위가 원래의 부위와 바로 인접하여 존재하는 형태의 중복을 직렬중복이라 한다. 상동염색체의 접합시 한 개 또는 두 상동염색체 모두에 고리가 생기고 꼬임현상이 일어나며 배열한다. 세포 내에 생성되는 특정한 단백질의 양은 흔히 그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는 유전자의 복사본 수와 비례한다.
-중복된 단편은 원래의 단편과 같은 방향으로 존재할 수도 있지만 역방향으로 존재한다. 이것을 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