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어회로(PLD)-1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2 13:24
본문
Download : 제어회로(PLD)-1.hwp
따라서 제어장치는 내부적으로 순서제어와 실행제어를 위해 필요한 논리회로를 가지고 있어야 된다
제어장치의 입력
- 클록: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회로나 장치들을 동기시키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발생되는 펄스이다.
- 제어버스로 보내는 제어신호: 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로 보내는 제어신호이다.
제어신호는 다음의 세 가지 유형으로 사용되고 있다
1. ALU의 기능을 선택하는 신호
2. 데이터 경로를 지정하는 신호
3. 외부 시스템버스 또는 다른 외부 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키는 신호
그 출력에는 다음과 같은 제어신호들이 있으며, 이것들은 각 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로 사용된다
- CPU 레지스터의 입력을 제어하는 신호
- 메모리의 쓰기/읽기 입력을 제어하는 신호
- 플립플롭을 셋, 클리어, 보수로 하는 신호
- 버스를 사용할 레지스터를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선택신호
- AC에 대해 산술논리 연산을 제어하는 신호
하드웨어 제어장치
하드웨어 제어장치는 하드와이어드(hard…(생략(省略))
제어회로(PLD)-1
설명
제어회로,PLD,공학기술,레포트
제어회로(PLD)-1 , 제어회로(PLD)-1공학기술레포트 , 제어회로 PLD
-1_hwp_01.gif)
-1_hwp_02.gif)
-1_hwp_03.gif)
-1_hwp_04.gif)
-1_hwp_05.gif)
-1_hwp_06.gif)
제어회로(PLD)-1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제어회로(PLD)-1.hwp( 93 )
다.
제어장치의 출력
- CPU내의 제어신호: 한 레지스터에서 다른 레지스터로 데이터 전송을 유발하는 신호와
특정한 ALU 기능을 수행하도록 유발하는 신호이다. 제어장치에 인가되는 각 클록펄스마다 한 개의 마이크로오퍼레이션을 수행한다.
- 명령레지스터: 명령레지스터 속에 들어있는 명령어의 오퍼레이션코드는 실행사이클 동안에
수행될 마이크로오퍼레이션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 플래그: 이전의 ALU 연산의 출력과 CPU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식으로서, 제어장치에 의해 사용된다
- 제어버스로부터의 제어신호: 제어버스는 제어장치에게 인터럽트 요청 혹은 인터럽트 인식과
같은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순서
CPU 설계(제어부분)
지 도 교 수
제 출 일
학 번
학 과
이 름
■ 개 요
제어장치는 시스템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도록 허용해주는 입력과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허용해주는 출력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