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의 직접전단 시험(KS F 2343)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0 03:39
본문
Download : 흙의 직접전단 시험(KS F 2343).hwp
체적變化율은 식(2)로 정의(定義)된다 여기서 V0 = L2H0의 계산은 간단한데, 수직방향 변형량(△H)으로 △V = A0∙△H로 일일이 계산하기가 귀찮고 그 양도 아주 작다. 조밀한 사질토나 과압밀된 점성토는 부피가 늘어나는 경향(+ Dilatancy)이 있다 후자인 경우라도, 전단초기에는 부피가 일단 줄다가 다시 SFMRL도 한다. 전단중에 부피가 늘거나 주는 현상이 “Dilatancy”이다.
반면에, 느슨한 모래나 정규압밀점토는 정점 이후에 계속 변형되어도, 응력-변형관계곡선이 하강되지 않고 곡선 B처럼 더 이상의 응력變化가 없는 경향을 띤다.
흙의직접전단시험
순서
Download : 흙의 직접전단 시험(KS F 2343).hwp( 52 )
설명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흙의 직접전단 시험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이런 거동을 탄∙소성이라 하며, 변형이 계속되어도 일정한 응력에 접근된다 이처럼 변형이 증가되는데도 일정하게 유지되는 응력을 극한강도라 한다. 느슨한 사질토나 정규압밀 점토는 그림(2)의 곡선 B처럼 부피가 계속 줄어드는(- Dilatancy)경향을 띈다. 암석이나 콘크리트와 같은 것들은 순간적으로 파괴되며, 이런 응력-변형 거동을 하는 물체를 취성이라 한다. 이는 수직하중으로 구속된 토립자들이 전단되는 …(省略)
,공학기술,레포트
흙의 직접전단 시험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그래서, 전단중에 생기는 부피 팽창이나 수축되는 경향만을 파악하는데는 수평방향 변형율(εH)에 따른 수직방향 변형량으로 작도해도 충분하다. 꼭지점 이후에 계속 변형시키면 어느 수준에서는 더 하강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는 경향도 있다 이 일정하게 변형시키면 어느 수준에서는 더 하강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는 경향도 있다 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응력을 잔류강도라 한다.흙의직접전단시험 , 흙의 직접전단 시험(KS F 2343)공학기술레포트 ,
● 흙의 전단파괴 特性
① 응력-변형곡선과 부피變化
조밀한 모래나 과압밀점토는 파괴되는 동안에 부풀다가 다시 감소되는 성질이 있다 즉, 그림(2)의 곡선 A처럼 최대점 또는 정점에 이르는 동안은 부피가 커지고, 이 이후부터는 곡선이 하강되는 경향이 있다 꼭지점은 전단저항 응력의 최대치로서 파괴점 또는 강도라 한다.
레포트/공학기술
흙의 직접전단 시험(KS F 2343)
다. 그리고 전단 중에는 부피가 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