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보상절 권9 형태소analysis 및 현대어해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05 02:29
본문
Download : 석보상절 권9 형태소분석 및 현대어해석.hwp
`형태소 分析(분석)`
이시다: 이(서술격조사) +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 +다(평서형 종결어미)
논: -14) +(현재시제 선어말어미) +오(대상법 선어말어미) +ㄴ(관형사형 전성어미)
마리라: 말 +이(서술격조사) +라(평서형 종결어미)
원문: 國귁王과 大뗑臣씬과 婆빵羅랑門문과 居겅士와
해석: 국왕과 대신과 바라문15)(승려)과 거사와
※ 공동격조사인 ‘와/과’의 쓰임이 드러난다.
`형태소 分析(분석)`
나라히라: 나라ㅎ +ㅣ(서술격조사) +라4)(←다, 평서형 종결어미)
원문: 廣嚴城에 가샤 樂音樹쓩 아래 겨샤 굴근 比삥丘 八千쳔人과 잇더시니 菩뽕薩 摩망訶항薩 三삼萬먼 六륙千쳔과
해석: 광엄성5)에 가시어 락음수6) 아래 계신 큰 비구 팔천 명과 함께 있으시더니 보살7) 마하살8) 삼만 육천과
`형태소 分析(분석)`
가샤: 가- +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
겨샤: 겨시-9) +아(연결어미)
굴근: 굵-10) +은11)
12): (관형사) +(의존명사)
잇더시니13): 잇- +더(회상법 선어말어미) +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원문: 摩망訶항薩 굴근 菩뽕薩이시다 논 마리라
해석: 마하살은 큰 보살이시다 하는 말이다.석보상절,권9,형태소분석,및,현대어해석,기타,레포트
釋譜詳節 第九 형태소 分析(분석) 및 현대어 해석
원문: 부톄 도녀 諸졍國귁 敎化황샤
해석: 부처께서 돌아다니어 여러 나라를 교화하시어
`형태소 分析(분석)`
부톄: 부텨 +ㅣ1)(주격조사)
도녀: 도니-2) +어(연결어미)
샤: - +샤3)(주체높임 선어말어미)
원문: 諸졍國귁 여러 나라히라
해석: ‘졍귁’은 여러 나라이다.
원문: 居겅는 살씨니 居겅士 쳔 만히 두고 가며 사 사미라
해석: 거는 사는 것이니 거사는 재물을 많이 두고 부요(부유)하게 사는 사람이라.
`형태소 分析(분석)`
살씨니16): 살- +ㄹ(관형사형 어미) +(의존명사) +ㅣ(…(drop)
순서
Download : 석보상절 권9 형태소분석 및 현대어해석.hwp( 40 )
석보상절 권9 형태소analysis 및 현대어해석
석보상절 권9 형태소analysis 및 현대어해석
설명






석보상절 권9 형태소분석 및 현대어해석 , 석보상절 권9 형태소분석 및 현대어해석기타레포트 , 석보상절 권9 형태소분석 및 현대어해석
레포트/기타
다. 체언의 음운조건에 따라 모음어간인 경우, 체언 말음이 ‘ㄹ’일 경우에는 ‘와’를 쓰고, 체언의 음운조건에 따라 자음어간인 경우에는 ‘과’를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