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한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5 13:30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한옥.hwp
또, 한옥은 바람의 통로와 물의 위치, 산과 평야와의 거리와 방향, 즉 풍수지리 theory(이론)에 근거하며 집의 목적과 거주자의 성향에 따라 매우 다르게 짓는 건축물이기도 하다. 그러나 산의 모양이나 물의 모양에 따라 세부적으로 조율하는데, 이는 건축주의 사주팔자나 직업, 지병 등에 따라 건축가가 임의로 조정하기도 한다. 조선집이라고도 한다. `한옥`이라는 낱말은 1975년 삼성 새우리말 큰사전에 등장하는데, 국어대사전(금성출판사, 1991년), 우리말 큰사전(1993년) 등에서 양옥에 대비되는 concept(개념)으로 `조선집` 또는 `한식집` 등의 동의어로 나온다. 1970년대 중반 이후 단지형 주택, 아파트 등에 밀려 일반적으로 한옥이 점차 위축되면서 한국 전통 건축물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한옥`이 formula(공식)적으로 통용되기 스타트하였다.
`한옥`이라는 말이 처음으로 나오는 것은 융희 2년(1907년) 4월 23일에 쓴 `가사에 관한 조복문서`인데, 돈의문에서 배재학당에 이르는 정동길 주변을 기록한 약도에서 이 말이 쓰이고 있다 당시에는 `주가`(住家)나, `제택`(第宅) 등과 같은 용어가 흔히 쓰였는데, 한옥이라는 낱말은 특수한 상황에서 새로이 등장한 건축물을 가리키는 용어와 같은 맥락에서 쓰이고 있다
일제 강점기에는 주택 개량을 논의하면서 `주가`라는 일반적인 이름을 쓰거나, Japan식 영단주택이나 문화주택과 구별하여 `조선주택`(朝鮮住宅) 등의 표현을 썼다. 온돌로 방바닥을 데워 추운 겨울을 나고, 마루가 있어 여름을 시원하게 보낼 수 있다 한국의 전통 건축양식은 다양한 왕조를 거치며 변모해 왔는데 현재 가장 많이 선호되는 양식은 조선왕조의 양식을 주로 따르며, 부분적으로 남북국 시대의 양식을 따르기도 한다. 현대식으로 지은 집은 `양옥`이라고 한다.
넓은 의미의 한옥은 초가…(drop)
Download : [사회과학] ●한옥.hwp( 85 )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사회과학] ●한옥
[사회과학] ●한옥
다. 뒤로는 산을 등지고, 앞으로는 물을 마주하며 남쪽으로 짓는 것을 이상적으로 보는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원칙을 지키는 것이 보통이다.
![[사회과학]%20●한옥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D%95%9C%EC%98%A5_hwp_01.gif)
![[사회과학]%20●한옥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D%95%9C%EC%98%A5_hwp_02.gif)
![[사회과학]%20●한옥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D%95%9C%EC%98%A5_hwp_03.gif)
![[사회과학]%20●한옥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2%97%8F%ED%95%9C%EC%98%A5_hwp_04.gif)
[사회과학] ●한옥 , [사회과학] ●한옥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한옥
사회과학,●한옥,인문사회,레포트
순서
한옥
한옥(韓屋)은 전통 한국 건축 양식을 사용한 재래식 집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