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오개혁의 연구동향과 쟁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00:17
본문
Download : 갑오개혁의 연구동향과 쟁점.hwp
③ 김영모 - 식민지화를 목적으로 한 日本(일본)의 군사적 위혐과 日本(일본)공사의 강력한 요구에 의해 이루어진 타율성이 강한 개혁이었다.
② 이이화 - 군국기무처가 日本(일본) 군사력의 강압에 의해 괴뢰政府의 기구로 발족된 것이므로, 군국기무처를 통한 개혁은 日本(일본)의 조선침략 정책과 연결되는 내용을 수용하게 되어 주체적인 개혁이 될 수 없다.갑오개혁의 추진배경과 전개과정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4. 갑오개혁과 동학농민운동과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시각
(1) 연관성을 인정하는 시각
① 신용하 - 동학농민운동에 의하여 봉건 구체제가 붕괴되는 토대 위에서 개화파가 세계사와 보조를 같이 하는 부르주아 개혁을 단행하게 되었다고 하여 동학농민운동과 갑오개혁의 연관성을 강조
② 강만길 - 동학농민군의 폐정개혁 요구가 갑오개혁시에 상당히 실현되었다고 하여, 연관성을 인정하고 있다아
(2) 연관성을 부인하는 시각
① 이이화 - 갑오개혁과 동학농민운동을 주도한 지도층의 component과 현실 인식, 개혁의 방향과 방법이 달랐기 때문에, 개화정권의 갑오개혁과 동학농민군의 폐정개혁은 직접적인 관련…(To be continued )
갑오개혁의연구동향과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갑오개혁의 추진배경과 전개과정에 대하여 설명(explanation)했습니다.
갑오개혁의 연구동향과 쟁점



Download : 갑오개혁의 연구동향과 쟁점.hwp( 65 )
다.갑오개혁의연구동향과 , 갑오개혁의 연구동향과 쟁점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3. 갑오개혁에 대한 기본 시각
(1) 내재적 발전의 입장에서 자율적 개혁으로 보는 긍정적인 시각
① 유영익 - 갑오개혁은 갑신정변 이래로 근대화정책을 추진해 온 개화파 관료들의 자율적인 개혁이라고 하여, 개화사상과 개화운동의 연장선상에서 갑오개혁의 내재적 발전론을 폈다.
② 도면회 - 담당정권은 日本(일본)의 간섭에 의해 형성되었지만, 그 추진세력은 조선政府의 개화정책 수행과정에서 양성된 실무관료들이었으며, 갑신정변이 이래 개화파의 개혁구상과 동학농민군의 폐정개혁안을 수용하고, 日本(일본)의 근대화를 모델로 하여 개혁을 추진한 것이라 하여, 갑오개혁을 내재적 발전론의 입장에서 보고 있다아
(2) 외세의존적인 면과 관련하여 타율적으로 보는 부정적인 시각
① 주진오 - 갑오개혁의 추진세력이 스스로 정치세력을 이루었던 것이 아니고, 외세에 의존하여 정권을 획득했으며, 외세 의존적인 정권의 성격으로 인하여 갑오개혁은 日本(일본)의 한국 침략의 발판을 제공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