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시대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수행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12:21
본문
Download : 정보화시대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수행.hwp
따라서 기존의 `보편적 서비스`의 범위와 정책의제에 덧붙여서, `보편적…(생략(省略))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다.
사회복지 정보화의 개념과 정의, 사회복지 정보화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사회복지 차원에서 정보사회가 가지고 있는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한 사회복지적 과제 및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 정보화시대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수행인문사회레포트 ,
I. 서 론
Ⅱ. theory(이론)적 배경
1. 사회복지 정보화의 관념
1) 복지정보통신의 관념
2) 사회복지 정보화의 관념
2. 사회복지 정보화의 necessity need
1) 社會福祉士(사회복지사)들의 업무효율성 증대
2) 전문가 체계(Professional System)의 강화
Ⅲ. 정보화와 사회사업적 assignment 및 역할
1. 정보화의 순기능 차원의 사회사업적 assignment
1) 사회복지 인프라로서의 국민복지종합정보시스템 구축
2) 사회복지 업무의 전산화
3) 특수기기, 정보기술을 이용한 핸디캡의 극복
4) 정보기술을 이용한 복지기관 및 전체 복지계의 경영혁신
5) 공동체의 복지기능 복원·강화, 새로운 공동체의 활용
2. 정보화의 역기능 차원의 사회사업적 assignment
1) 정보격차에 따른 빈부격차, 소외현상 심화의 문제
2) 노동으로부터의 소외
3) 온라인(online) 착취 및 폭력, 유해정보로부터의 보호
4) 공동체의 복지기능 복원·강화, 새로운 공동체의 활용
Ⅲ. conclusion
정보화와 사회복지가 밀접한 상호의존적 관계로 되어 가면서 `정보통신의 복지화`와 `사회복지의 정보화`라는 두 가지 방향에서의 접근이 중첩되는 영역이 생겨나게 된다 바로 이 두 방향에서의 접근과 그 중첩영역을 `복지정보통신`이라 부를 수 있다아 즉, `복지정보통신`이란, 한편으로는 `정보화 추진과정에서의 복지적 요소의 내장`, 다른 한편으로는 `정보화의 복지적 효과(效果) 활용`을 의미하며, 나아가 `정보화와 복지화의 발전적 결합 영역`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김기훈 외, 1995).
사회복지 정보화는 복지정보통신의 관념과 차이가 있기 때문에 복지정보통신에 대한 관념과 사회복지 정보화의 관념을 살펴보고자 한다.
정보화시대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수행
Download : 정보화시대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수행.hwp( 63 )
순서
설명






사회복지 정보화의 concept(개념)과 定義(정의), 사회복지 정보화의 당위성을 살펴보고, 사회복지 차원에서 정보사회가 가지고 있는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한 사회복지적 Task 및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요점했습니다.
1) 복지정보통신의 관념
`복지정보통신`이라는 관념은 바로 `정보통신의 복지화`와 `사회복지의 정보화`라는 두 가지 지향이 만나는 문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아 여기서 `정보통신의 복지화`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을 고려한 `보편적 서비스` 이념의 확장이라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서, `보편적 접근`을 그 goal(목표) 로 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