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공학 레포트(report)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0 19:14
본문
Download : 하천공학 레포트.hwp
제방 안쪽에 있는 부제는 만약 원래의 제방이 무너졌을 경우 제2방어진의 구실을 하여 제방 안쪽의 땅을 보호한다.
하천공학 레포트 , 하천공학 레포트공학기술레포트 , 하천공학 레포트
설명
Download : 하천공학 레포트.hwp( 72 )
순서
하천공학 레포트(report)
하천공학 레포트(report)
1.제방
1) 제방 구성
제방이란 하천이나 해안, 호수나 늪의 물을 일정한 유로(流路) 내로 제한해서 범람(氾濫)을 방지하고 폭풍해일이나 파도로부터 해안항만을 보호하기 위해 토사 등을 쌓아 조성한 토목 구조물로 장소나 목적에 따라 잔디돌콘크리트 기타의 호안(護岸)공작물로 보호하고 있는 시설물이다.
도류제(Guide Levee): 하천의 합류점이나 하구 부분에서 유로가 토사의 체적으로 인하여 교란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그 개소에 설치하는 제방. 합류점에서는 하천에 끼울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부제(Secondary Levee): 하천제방(河川堤防)에서 원래의 제방 안쪽 또는 바깥쪽에 거의 평행으로 구축한 소형의 제방형 축조물이다.
◆ 제방의 종류
본제(Main Levee): 하천의 범람 방지를 위해 유수에 면해 만든 제방이 본제이며, 만일 본제가 파괴된 경우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예비 제방을 부제(副堤) 또는 공제(控堤)라 한다. 급류 하천에서는 공제 뒤에 다시 공제를 만드는 경우가 있으며, 본제를 1 번제, 이하 2번제, 3 번제라 부른다.
윤중제(둘레둑, Ring Levee):하천의 넓은 윤중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주위에 만든 제방. 하천의 합류점 부근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역류제(Back Levee):하천의 본류와 지류가 합류할 때 본류의 물이 지류…(drop)






하천공학,레포트,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다. 제방은 장소나 목적에 따라 잔디돌콘크리트 기타의 호안(護岸)공작물로 보호하고 있다 원시하천에서는 하도(河道)의 양측을 따라서 범람평원(홍수터 또는 고수부지) 사이의 경계에 퇴적된 토사력(土砂礫)이 형성되는 일이 있는데 이것을 자연제방이라고 한다. 바깥쪽, 즉 냇물이 흐르는 쪽에 있는 것은 하천의 너비가 넓어 고수부지를 무엇인가에 이용하고 있을 때, 약간의 홍수로는 부제 때문에 부지가 침수되지 않으며, 침수된다 해도 물이 빨리 흐르지 못하므로 큰 피해를 입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