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文化(문화)]우리의 전통음식 김치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1-06 20:30
본문
Download : [음식문화]우리의 전통음식 김치.hwp
그러나 채소는 곡물과 달리 저 장하기가 어렵다. 곡물은 대부분 전 분이어서 인체의 에니지원이 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비타민이나 무기질이 풍부한 채 소를 섭취해야 한다.
[음식문화]우리의,전통음식,김치,생활전문,레포트
[음식文化(문화)]우리의 전통음식 김치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조선 중중때의 `벽온방`에 딤채국을 집안 사람이 다 먹어라. 하는 말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저`를 우리말로 `딤채`라고 했음을 알 수 있다아 국어학자 박갑수는 김치의 어원에 대해, `침채`가 `팀채`로 변하고 다시 `딤채`가 되었다가 구개음화하여 `김채`, 다시 `김치`가 되었다고 說明(설명) 한다. 채소를 말리면 본래의 맛을 잃고 영양분이 손실되기 때문이다 그 후 채소를 소금에 절이거나 장(醬), 초(酢), 향신료 등과 섞어 두면 새로운 맛과 향…(skip)
레포트/생활전문
[음식文化(문화)]우리의 전통음식 김치
Download : [음식문화]우리의 전통음식 김치.hwp( 20 )
다. 하물며 日本 식이나 중국(中國)식 또는 서양식의 요리가 준비되어도 김치 가 식탁에 오르는 경우가 많다. 김치는 인류가 농경을 처음 하여 곡물을 주식으로 삼은 이후에 생겨났다.
●김치의 history(역사) /어원
김치의 어원을 살펴보면, 고려 시대의 김치류에는 지금과는 달리 고춧가루나 젓갈, 육류를 쓰지 않았다. , [음식문화]우리의 전통음식 김치생활전문레포트 , [음식문화]우리의 전통음식 김치
설명
![[음식문화]우리의%20전통음식%20김치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8C%EC%8B%9D%EB%AC%B8%ED%99%94%5D%EC%9A%B0%EB%A6%AC%EC%9D%98%20%EC%A0%84%ED%86%B5%EC%9D%8C%EC%8B%9D%20%EA%B9%80%EC%B9%98_hwp_01.gif)
![[음식문화]우리의%20전통음식%20김치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8C%EC%8B%9D%EB%AC%B8%ED%99%94%5D%EC%9A%B0%EB%A6%AC%EC%9D%98%20%EC%A0%84%ED%86%B5%EC%9D%8C%EC%8B%9D%20%EA%B9%80%EC%B9%98_hwp_02.gif)
![[음식문화]우리의%20전통음식%20김치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8C%EC%8B%9D%EB%AC%B8%ED%99%94%5D%EC%9A%B0%EB%A6%AC%EC%9D%98%20%EC%A0%84%ED%86%B5%EC%9D%8C%EC%8B%9D%20%EA%B9%80%EC%B9%98_hwp_03.gif)
![[음식문화]우리의%20전통음식%20김치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8C%EC%8B%9D%EB%AC%B8%ED%99%94%5D%EC%9A%B0%EB%A6%AC%EC%9D%98%20%EC%A0%84%ED%86%B5%EC%9D%8C%EC%8B%9D%20%EA%B9%80%EC%B9%98_hwp_04.gif)
![[음식문화]우리의%20전통음식%20김치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8C%EC%8B%9D%EB%AC%B8%ED%99%94%5D%EC%9A%B0%EB%A6%AC%EC%9D%98%20%EC%A0%84%ED%86%B5%EC%9D%8C%EC%8B%9D%20%EA%B9%80%EC%B9%98_hwp_05.gif)
![[음식문화]우리의%20전통음식%20김치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8C%EC%8B%9D%EB%AC%B8%ED%99%94%5D%EC%9A%B0%EB%A6%AC%EC%9D%98%20%EC%A0%84%ED%86%B5%EC%9D%8C%EC%8B%9D%20%EA%B9%80%EC%B9%98_hwp_06.gif)
순서
● 한국의 음식문화 속, 김치는?
김치는 원래 야채가 부족한 겨울철의 비타민 섬유질원으로써 만들어진 보존식품이지만 일년내내 재배 야채가 나오고 있는 오늘날에는 계절에 관계없이 신선한 야채로 김치를 담글 수 있게 되었다. 반대로 김치 한가지만 있어도 식사는 가능하다.
[음식문화]우리의 전통음식 김치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곡물은 대부분 전분이어서 인체의 에너지원이 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비타민이나 무기질이 풍부한 채소를 섭취해야 한다. 계절에 관계없이 언제나 반드시 식 탁에 오르게 되므로 아무리 식탁이 훌륭하게 차려졌다 하더라도 김치가 빠졌다면 만족감을 느낄 수 없게 되고 만다. 소금을 뿌린 채소에 천초, 마늘, 생강 등의 향신료만 섞어서 재워두면 채소에 있는 수분이 빠져 나와 채소 자체가 소금물에 가라앉는 침지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침채(沈菜)`라는 특이한 이름이 붙게 되었다. 김치는 한국에서 세끼의 식사에 빠지지 않고 올라온다. 결국 김치는 한국의 식탁에서 빠져서는 안될, 가장 기초가 되는 음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