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통증관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6 13:51
본문
Download : 성인간호학-통증관리.hwp
이와 같이 통증은 생체의 이상을 신속히 알리고 경고하는 중요한 방어 기전중의 하나이다.
Ⅱ. 통증theory
성인간호학-통증관리에 관한 data(자료)입니다.
1. 특이성 theory
레포트 > 의학계열
설명
2. 형태 theory
[간호학] 통증관리
형태theory 은 동통만을 전달하는 특정 동통섬유가 있는 것이 아니라 열이나 화학적 기계적 자극들이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축적될 때 동통으로 지각된다고 보는 것이다. 반면에 실질적인 조직 손상으로 일어나는 통증은 반사적으로 근육의 위상성 수축을 일어켜 개체의 전체 또는 일부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골절상을 입었을 때의 이차적인 통증에서와 같이 움직이지 않아야 아프지 않고 뼈가 아물게 되는 것이다.
특이성 theory 에서는 유해 자극의 강도가 수정 없이 그대로 동통으로 지각된다고 설명(說明)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같은 자극에 대해 개인의 동통지각이 광범위하게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
특이성 theory 은 전통적이고 기본적인 동통theory 으로서, 피부와 다른 내부조직에 분포된 특정 동통수용기에 자극이 주어지면 특정 동통 전달경로를 통하여 특정 동통중추로만 전달된다는 것이다.
순서
Ⅰ.통증의 정의
Download : 성인간호학-통증관리.hwp( 90 )





통증이란 실질적인, 또는 잠재적인 조직 손상이나, 이러한 손상에 관련하여 표현되는 감각적이고 정서적인 불유쾌한 경험이다. 그러나 최근의 實驗 연구에 의하면 특정 정보를 전달하는 수용기와 경로가 있으나 각 경로들이 동통과 같은 단 한가지 감각반응만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라고 밝혀졌으며, 또한 동통지각도 대뇌 중추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시상, 변연계 등의 effect(영향) 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증 관리
이론, 통증, 조직손상, 방어기전
성인간호학-통증관리에 관한 자료입니다.
특이서 theory 으로는 설명(說明)할 수 없었던 환상지통이나 작열통이 형태theory 에 의해 설명(說明)될 수 있다 즉 사지에 가해진 강렬한 병리적 자극이나 사지의 절단은 척수활동을 자극하여 비정상적 자극반사 형태를 형성하며 이러한 계속적인 자극반사 형태는 모두 중추에서 합해져서 이를 동통으로 해석하게 된다는 것이다. 잠재적인 조직 손상을 알리는 통증은 바늘에 찔리거나 불에 데려는 순간에 느끼는 것과 같은 일차적인 통증으로서, 개체는 재빠른 도피반사를 일으켜 다가오는 더 큰 조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려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어적인 역할을 다한 뒤에도 통증이 계속적으로 남아있게 되면, 이 통증 자체가 하나의 질병이 되어 인간을 괴롭히고 치료하지 않으면 안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말초신경계나 중추신경계의 이상으로 통증 유발 자극이 없어도 통증을 일으키게 되며, 구심로차단성 통증이나 신경병증성 통증이 여기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