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가의 특징과 분류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18:40본문
Download : 무가의 특징과 분류.hwp
설화나 민요 판소리는 모두 인간인 청자를 가진다. 신에게 인간의 소원을 하소연하고 아쉬운 것을 부탁하며, 신을 즐겁게 하는 등의 내용으로 무가는 짜여져 있다아 그래서 무격은 무의에서 인간인 청자가 없어도 얼마든지 무가를 읊조린다. 그러나 무가는 실제의 청자는 사람일지 몰라도 무의(巫儀)의 성격상 그 대상은 신임에 틀림없다. 반면에 무가는 무속의례에서 실제로 주술력을 구현하고 있다아 무(巫)의 기능인 치병(治病)·예언(豫言)·점복(占卜)·강신(降神) 및 사제자로서의 신이(神異)성을 나타내는 데 있어서 그 주술적 효과(效果)가 실제적으로 나타난다.무가의 특징과 분류에 관한 글입니다.
셋째, 전승이 제한되어 있다아 즉, 무(巫)라는 특정 부류에 의하여 전승되고 있으며, 일반대중이 그 전승에 참여하지 못한다. 무가는 그 청자(聽者)가 신(神)으로 설정된다 즉 신을 청하고 신에게 소원을 비는 말이며, 혹은 신의 의사가 인간에게 전달되는 말이다. 오히려 인간이 있는 것이 무가의 낭송에 지장이 되는 수가 있다아 이와 같이 신과 인간과의 대화라는 점에서 신성성이 있다아 이 신성성은 인간이 알지 못하는 문구의 삽입으로 과장되기도 하고, 신 자신의 언어로 신의 의사가 전달되는 `공수`등의 무가에서 더욱 강력하게 나타난다.
첫째, 주술(呪術)성이 있다아 무가는 어느 것이거나 주술적인 성격이 있다아 무가 이외에 민요에도 주술성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지신(地神) 밟기요(謠)‘와 같은 민요는 무가 중 축원이나 덕담(德談)과 같은 내용으로 되어 있고, 그것은 기복(祈福)·방재(防災)의 구실을 한다는 면에서 주력(呪力)을 인정할 수 있다아 그러나 민요의 주술성은 민요 전반의 property(특성)이 못되며, 민요 가운데 무가나 기타 종교에서 파생된 것에서 찾아 볼 수 있는 현상이다. 무가의 전승은 무의 사제(師弟)관계나 수양관계를 통하여 무의와 함께 전승된다 따라서 일반 대중의…(skip)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무가의 특징과 분류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Download : 무가의 특징과 분류.hwp( 74 )
무가의 특징과 분류에 관한 글입니다.무가의특징과분류1 , 무가의 특징과 분류인문사회레포트 ,
무가의특징과분류1
다.
둘째, 신성(神聖)성이다. 소위 신을 즐겁게 하고 귀신을 물리치는 등 보통 인간의 언어와 다른 주술적인 힘을 가지는 점이 무가의 property(특성)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