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수량사 구성의 구조와 의미 : 비속격형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25 06:23본문
Download : 한국어 수량사 구성의 구조와 의미 비속격형을 중심으로.hwp
이에 반해 수사를 핵으로 보는 견해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안 된다 셋째, 수사를 핵으로 보는 핵기저부가구조 하에서는 시정곤(2000:79)이 제기한 의문이 사라진다.
두 번째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보자. 이 논문에서는 수-분류사의 올바른 구조로 (5)을 주장하고 있다아
(5) Num
Num Cl
세 개
(5)와 같은 구조를 내세우는 이유는 첫째, 의미적으로 보아 수-분류사에서 중심을 이루는 것은 분류사이기보다는 수사라고 할 수 있다아 둘째, 의미적 양상과도 관련되는 것으로 수-분류사 중 분류사는 To be continued 될 수 있으나, 수사는 To be continued 될 수 없다.국어의통사구조-시리즈9 , 한국어 수량사 구성의 구조와 의미 : 비속격형을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어 수량사 구성의 구조와 의미 : 비속격형을 중심으로
Download : 한국어 수량사 구성의 구조와 의미 비속격형을 중심으로.hwp( 76 )
레포트/인문사회
3.1. 수-분류사의 구조
수-분류사의 구조를 살피는데 있어서는 시정곤(2000)에서 지적했듯이 다음 세 가지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그러나 수사를 핵으로 하는 핵기저부가구조 하에서는 이것이 문제가 되지 않는데, 이는 핵기저부가구조 하에서의 수사나 분류사는 X0이기 때문일것이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문제를 보자. 분류사에 대해 명사 외의 별도의 통사 범주를 부여할 만한 강한 경험적 근거가 없으므로 명사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볼 때 분류사를 핵으로 보는 입장에서도 수-분류사의 범주는 명사가 되며…(To be continued )
설명
국어의통사구조-시리즈9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한국어 수량사 구성의 구조와 의미 : 비속격형을 중심으로에 대한 글입니다. 즉 시정곤은 수-분류사를 통사적 구성으로 볼 것인가 형태적 구성으로 볼 것인가를 논하면서 결과적으로는 통사적 구성으로 보았으나, 수사나 분류사가 확장되지 못한다는 점이 의문으로 남는다고 했다. 첫째, 어휘부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통사부에서 형성된 것으로 볼 것인가? 둘째, 두 成分 중 어느 것을 핵으로 볼 것인가? 셋째, 문법 범주는 무엇으로 볼 것인가?
첫 번째에 마주향하여 는 대부분의 기존 견해들 사이에 이견이 없는 것으로 보는데, 통사부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대부분의 견해이다. 분류사를 핵으로 보는 견해에서는 그 핵이 To be continued 될 수 있다는 것으로 생각해야 하는데, 이는 핵이 통사 및 의미의 중심이라고 볼 때 받아들일 수 없는 결과가 아닌가 한다.한국어 수량사 구성의 구조와 의미 : 비속격형을 중심으로에 대한 글입니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