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jalbang.co.kr 가신신앙 > jjalbang1 | jjalbang.co.kr report

가신신앙 > jjalbang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jjalbang1

가신신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1 17:35

본문




Download : 가신신앙_2065857.hwp





한편 이러한 가신신앙은 집단신앙보다도 더욱 급격히 소멸되어, 급속도로 사라져 가고 있어 reference(자료)의 조사와 보존이 시급한 처리해야할문제로 떠오르고 있따


2. 가신신앙의 성격

우리나라는 고대에서부터 하늘과 명산대천(名山大川)에 제사하여 국운을 빌었으니, 하늘에는 천지를 관장하는 천신(天神)이 있다고 믿은 까닭이며, 명산과 대천에도 각기 그 처소를 관장하고 좌우하는 신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는 현재까지도 이어져 마을에서 천제(天祭), 당제(堂祭), 용왕제(龍王祭) 등을 지내고 있으며 이러한 제의(祭儀)는 마을 전체의 공동제의라 하겠다.
주로 각 개별 신을 안치한 장소는 안방, 대청, 부엌, 뒤꼍, 측문, 마당, 대문 등으로 분류해 볼 수 있고, 같은 위치의 신은 어느 가정에서나 비슷한 기능을 발휘하는 신으로 신앙되고 있다는 공통점을 들 수 있따 또한 이는 당산제의 남성 중심에 비해 여성 즉 주부들에 의해 전승되어 왔다.가신신앙에대한조사 , 가신신앙인문사회레포트 ,
가신신앙에대한조사

Download : 가신신앙_2065857.hwp( 43 )





가신신앙


설명

순서





다.
마을의 공동제의 중 당제(山祭 또는 都祭)는 마을의 남자가 중심이 되어 제의를 진행하는데 비하여, 가定義(정이) 제의에서는 여자가 중심이 되…(To be continued )


레포트/인문사회
본 자료(資料)는 가신신앙에 대해 요약한 리포트입니다. 우리 지방의 가신은 성주, 조상, 삼신, 조왕, 우마신, 용왕, 주당 등인데 1970년대 이후 근대화를 거치면서 가진 신앙은 거의 소멸된 상태이며 정월 보름날 행해지는 지신밟기 의식 등에서 이러한 신앙의 일면을 찾아 볼 수 있을 뿐이다. 그래서 가장 정적이고 소박하다. 가신신앙_2065857_hwp_01.gif 가신신앙_2065857_hwp_02.gif 가신신앙_2065857_hwp_03.gif 가신신앙_2065857_hwp_04.gif 가신신앙_2065857_hwp_05.gif 가신신앙_2065857_hwp_06.gif

1. 가신 신앙이란? p 2

2. 가신 신앙의 성격 p 2 ~ 5

3. 가정 신앙의 종류별 고찰

1) 성주 p 5 ~ 7

2) 조상 p 7 ~ 8

3) 삼신 p 8 ~ 10

4) 조왕 p 10 ~ 11

5) 측신 p 11 ~ 12

6) 안택제 p 12 ~ 14

7) 고사 p 14

8) 수문신 p 14 ~ 16

9) 토신제 p 16

10) 지신 p 16 ~ 18

11) 업신앙 p 18

12) 조령 p 18

13) 터주와 철륭 p 18 ~ 19

14) 주당 p 19

15) 우마신 p 19

16) 용왕 p 19

17) 쇠구영신 p 19



1. 가신신앙이란?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가족의 안녕과 집을 지키기 위해 가신을 모시고 정성 드려 섬겨야 한다고 믿어 왔다.

,인문사회,레포트


본 자료는 가신신앙에 대해 정리한 리포트입니다. 그래서 집은 단순한 주거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초월하여 여러 가지 신이 함께 살고 있는, 인간 본능의 신앙 욕구를 채워 준 곳이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각 가정에서 가定義(정이) 각 처소마다 각기 그 처소를 관장하고 있는 신이 존재하는 것으로 믿고, 가족 중 주부가 제사 · 고사 등을 지내며 집안의 평안과 가족들의 운수를 기원하는데 이를 가신신앙(家神信仰) 또는 가정신앙(家庭信仰)이라고도 한다.
전체 24,17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jjalbang.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