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법] 개인적 공권과 반사적 이익의 구별에 관한 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03 08:35
본문
Download : 개인적공권과반사적이.hwp
3. 법률상 이익
.
(2) 법적성질
1. 공권의 의의
2. 법률상 보호 가치 있는 이익
1. 무하자 재량청구권
개인적 공권은 개인 또는 단체가 우월한 의사주체로서의 국가·공공단체등에 대해 가지는 권리를 말한다.
- 본문일부 -
설명
Ⅲ. 반사적 이익
① 강행법규의 존재(강행법규성)
(3) 성 립
3. 개인적 공권의 성립요건
(2) 개인적 공권
Ⅰ. 공권
.
Ⅱ. 개인적 공권
③ 청구권성
개인적 공권과 반사적 이익의 구별에 관한 논의
.
(2) 개인적 공권
1. 개인적 공권의 의의
- 목 차 -
(2) 법적성질
2. 개인적 공권의 종류
2. 개인적 공권의 종류
(1) 의 의
공권은 국가주체에 따라서 국가적 공권과 개인적 공권으로 나눌 수 있따
(1) 국가적 공권
.
(3) 성립
1. 법률상 보호이익
다.
Ⅳ. 기타 유사 concept(개념)과의 구별
후략
Download : 개인적공권과반사적이.hwp( 89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 행정권발동청구권
개인적 공권과 반사적 이익의 구별에 관한 논의
Ⅴ. 개인적 공권의 확대와 경향
2. 개인적 공권과 반사적 이익의 구별
(1) 의 의
(1) 국가적 공권
.
공권,법률상보호이익,법률상이익,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행정권발동청구권,행정작용





1. 공권의 의의
② 사적이익의 보호(사익보호성)
4. 개인적 공권의 특수성
.
1. 의 의
순서
[행정법] 개인적 공권과 반사적 이익의 구별에 관한 논의
2. 공권의 종류
공권이란 공법관계에 있어서 직접 자기를 위하여 일정한 이익을 주장할수 있는 법적인 힘을 말한다. 공권도 권리인 점에서 법이 단순히 국가 또는 개인의 작위·부작위를 규정하고 있는 결과 그 반사적 effect로서 발생하는 이익인 반사적 이익과 구별된다된다. 개인적 공권은 내용을 표준으로 자유권, 수익권, 참정권 등으로 나눌수 있따 이밖에 근래 특히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 절차적 공권, 행정개입청구권 등이 논해지고 있따
국가적 공권은 국민, 공공단체 또는 국가로부터 공권력을 부여받은 자가 우월한 의사주체로서 개인 또는 단체에 대해 가지는 권리이다. 이러한 국가적 공권은 그의 목적을 표준으로 조직권·형벌권·경찰권·통제권·공기업특권·공용부담특권·재정권·군정권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내용을 표준으로 하명권·강제권·형성권·공법상의 물권 등으로 나눌 수 있따 그러나 이들 국가적 공권은 엄격히 말하면 권한, 권능의 성질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