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한국 전쟁의 초기 지연전 / 낙동강 방어 작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02 07:32
본문
Download : 6.25 한국전쟁의 초기 지연전 및.hwp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전술 / 작전술적인 부분이 아니 전반적인 작전의 배경과 의의에 대해 포괄적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1950년 7월 말로 시간과 고간과의 싸움인 지연작전을 마감하고 8월 1일 ~ 4일 낙동강 방어작전으로 전환함으로써 6·25전쟁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된다. 이 방어선의 이점은 개전 이래 최초로 한국군과 미군이 서로 전선을 연결할 수 있어 상호 협조된 작전을 수행할 수 있어 북한군의 상용전술인 일점양면전술과 같은 우회공격의 저지가 가능했다. 이로 인해 결국 7월 20일, 중부지역의 전랴적 요충지인 대전이 적의 수중에 들어가게 되었다.
1. 서 론
한강방어선이 무너진 후 정일권 총참모장은 미군이 증원될 때까지 시간을 벌기 위해 적의 진격을 최대한 늦출 수 있도록 지연전을 전개할 것을 명령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유엔군의 파병이 결정되어 미 제24사단의 선두부대가 평택에 도착하였으며, 국군은 7월 4일 평택-제천-울진을 연하는 선에서 유엔군과 연합전선을 형성하였다. 국군과 유엔군은 지연작전 기간 중 남한 국토의 90%를 상실하였으나 유엔군이 해상과 공중 우세권을 확보하는 등 전쟁수행을 위한 작전지휘체제와 작전기반을 갖추어 갔다. 그동안 국군도 2개 군단, 5개 사단으로 재편성하여 전쟁 직전의 병력 수준으로 전력을 회복하였다. 그러나 국군과 유엔군은 여전히 상대적 전투력의 열세를 만회하지 못한 채 북한군의 계속적인 압력에 밀려 차령산맥, 근강, 소백산맥선에서도 이들의 공격을 저지하지 못하였다.
625전쟁,지연전,낙동강,지연작전,낙동강 방어선,한강방어선,북한군,한국전쟁,차후작전
2) 본론
설명
<중 략>
1. 지연작전 의의 및 차후작전에 미친 영향
다. 이후 전쟁의 양상은 국군과 유엔군이 남하하는 북한군을 최대한 지연시키면서 증원을 기다리는 ‘시간과의 싸움’으로 전개되었다.2. 낙동강 방어선 형성 배경 및 군사적 의의

2) 본론
순서
낙동강 방어선은 남쪽의 마산으로부터 북쪽으로 현풍, 왜관, 낙동리까지 160㎞, 그리고 낙동리에서 동쪽으로 영덕까지 80㎞를 잇는 방어선이다. 이때 미 지상군은 경부국도를 중심으로 서부지역 전선을, 국군은 중동부지역 전선을 담당하였다.
대학원 군사사 관련 발표자료입니다.
Download : 6.25 한국전쟁의 초기 지연전 및.hwp( 30 )
1) 서론
3) conclusion
3) conclusion
6·25 한국 전쟁의 초기 지연전 / 낙동강 방어 작전
1) 서론
대학원 군사사 관련 발표data(자료)입니다. 전술 / 작전술적인 부분이 아니 전반적인 작전의 배경과 의의에 대해 포괄적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