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18:59본문
Download : 신체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hwp
꾀병은 의도적으로 증상을 만들거나 과장하지만 목적(군대회피, 보상금취득, 사회적 책임 회피 등)을 지니지만, 허위성 장애는 환자 역할을 하는 것 이외에는 어떠한 현실적인 이득이나 목적이 발견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스로 철사를 삼켜 위장에 궤양을 만들어 병원에 입원, 정신장애와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기 위해 항정신성 약물을 몰래 복용)
위와 같이 병을 위장한다는 의미로서‘위병장애’라고 불리기도 하며, 이는 꾀병과 구분되어야 한다.
순서
신체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 신체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의약보건레포트 , 신체증상 특징 하 장애
신체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레포트/의약보건
` 신체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
몸과 마음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는 심리적 Cause 에 의해서 다양한 신체적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를 말한다.
또한 허위성장애는‘뮌하우젠증후군’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이는 18세기 유럽 내 여관들을 전전하며 자신의 군대 모험담을 꾸며대고 다녔던 기병대 장교 폰 뮌하우젠의 이름을 딴 장애 명칭이다.
▶ DSM-5 체크리스트 - 허위성 장애
`자신에게 시행된 허위성 장애`
1. 외부적 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신체적 혹은 심리적 증상을 허위적 변조하거나 상처나 병을 허위로 만들어 냄
2. 자신을 아픈, 손상된, 혹은 부상된 것으로 제시
…(skip)
신체증상,특징,하,장애,의약보건,레포트
Download : 신체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hwp( 39 )
설명
신체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다. 이러한 증상으로 인하여 아무런 현실적인 이득이 없음이 분명하며, 다만 환자 역할을 하려는 심리적 욕구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 될 때 이러한 진단이 내려진다. 이러한 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흔히 다양한 신체적 증상을 나타내지만 의학적 검사에서는 그러한 증상을 설명(說明)할 수 있는 신체적 이상이 발견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신체적 증상의 발생과 유지에는 심리적 Cause 이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DSM-5에는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가 신체증상장애, 질병불안장애, 전환장애, 허위성 장애 등의 하위 유형으로 구분되어 있다
1. 허위성 장애
허위성 장애는 환자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신체적 또는 심리적 증상을 의도적으로 만들어 내거나 위장하는 경우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