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트릭스와 철학 그리고 정신분석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0 16:04본문
Download : 매트릭스와 철학 그리고 정신분석학.hwp
매트릭스와철학그리고정신분석학 , 매트릭스와 철학 그리고 정신분석학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그럼 매트릭스를 한번 해체해보자. 영화를 바라보는 가장 큰 두 가지의 관점으로서 영화 속에 담긴 수많은 관점을 유기적으로 엮어 하나의 큰 흐름 속에 놓고 보는 관점과 영화 속 장면 혹은 많은 사상들을 하나 하나 해체해서 보는 관점이 있다아 필자는 우선적으로 해체하고자 한다. 즉 매트릭스 1편에서 가상과 현실이라는 팬텀의 concept(개념)이 영화 전반에 강한 쇼크로 다가오지만 좀더 들여다보면 동양 사상의 우리라는 concept(개념)을 자신들도 가지고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동양 또한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유가 현재 가장 두드러지는 아니 정확히 근대 국가의 concept(개념)이 탄생되던
18세기 전후의 서양 철학의 일 부분일 뿐이라고 본다. 동양의 경우는 유교 사상의 왕성한 전파가 마치 우리를 강조하는 concept(개념)으로 인식되었으나 과거 장자의 도교 사상이 오히려 우리 동양인들의 정신에 더 많은 影響(영향)을 주었다는 근래의 가설에 입각해서 본다면 나의 존재를 입증하는 것은 타자가 아닌 바로 자신 스스로이고 자연이다. 즉 개인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지만 그 안에서 나와는 다른 너를 존중하고 그들과의 관계를 더욱 중요시한다는 것이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은 한번에 혹은 파편 적인 조각으로 나누기에는 너무도 많은 그러나 결국 몇 가지의 혹은 하나의 사상으로 귀결되는 것이 이 영화가 아닐까 생각한다. 오히려 서양의 경우 우리라는 혹은 너와 나라는 두 가지 이상의 개체들과의 사이에서 자신의 존재를 인식한다는 사실을 우리는 중요하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물론 어느 정도는 맞다.
서론이 길었다.
우선 매트릭스 1편에서 보여지는 사상은 무엇인가? 우선 우리가 한가지 잘못 알고 있는 서양 철학으로 개인주의를 꼽을 수 있는데 마치 `개인`의 독립된 존재를 중요시하는 것이 서양 철학이고 `우리`를 중요시하는 것이 동양 철학이라는 관점이다. 그러나 결국 하나의 영상 미학으로서 그들을 하나로 묶는 작업으로 끝날 것 같다. 극중에서 네오가 자신…(drop)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매트릭스와 철학 그리고 정신분석학.hwp( 17 )
다.
매트릭스와 철학 그리고 정신분석학
영화 매트릭스에 대해서 철학과 정신분석학 측면에서 설명했습니다. 다시 말해 오히려 우리가 아닌 개인 하나 하나의 자각이 중요한 것이다.
레포트/인문사회
매트릭스와철학그리고정신분석학
영화 매트릭스에 대해서 철학과 정신분석학 측면에서 설명(說明)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