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과정과 평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6-19 12:25
본문
Download : 제8장_수업과정과_평가.hwp
교수-학습 과정에서 평가의 기능은 수업이 모두 끝난 후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여 수업goal(목표) 의 달성 여부를 확인하고 성적등급을 매기는 기능만 하는 것이 아니다. 즉, 현재의 주어진 학습과제課題에 대한 수업이 스타트되기 직전에 하는 진단평가, 학습과제課題에 대한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 과정에서 하는 형성평가, 그리고 현재의 학습과제課題에 대한 수업이 모두 끝난 직후에 하는 총합평가가 바로 수업과정의 세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평가이다.
제2절. 진단평가
수업과정과 평가,
제1절. 교수-학습의 일반적 과정
[그림8-1] 교수-학습과정의 일반적 흐름도
제1절. 교수-학습의 일반적 과정
교수-학습
다. 수업과정의 내부에서 출발점 행동을 진단하거나, 수업이 계획된대로 잘 진전되고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수업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와 학생들에게 계속적으로 송환해 주는 기능도 있다아
학습지도
학습성과의
1. 목적과 특징
goal(목표) 설정
제4절. 총합평가
출발점 행동의
활동
확인
진단평가
설명
제8장, 수업과정과 평가
레포트 > 교육계열
Download : 제8장_수업과정과_평가.hwp( 74 )
평가
제2절. 진단평가
제3절. 형성평가
2. 진단평가의 기능
수업의 전반적인 흐름 속에서 평가는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의 세 위치에서 각각 고유의 목적과 기능을 갖고 존재한다. 넷째, 수업을 마친 다음 최종적으로 학습지도의 성과가 어떠한가를 평가한다. 셋째, 출발점 행동의 진단결과에 의거하여 어떤 학습지도를 어디서부터 스타트할 것인가를 결정하고 실제 수업을 이끌어 나간다. 둘째, 이러한 수업goal(목표) 를 달성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사전에 갖추고 있어야 할 출밤점 행동의 수준을 진단한다.
수업과정과 평가 교육학 자료
수업goal(목표) 의




학습평가
제1절. 교수-학습의 일반적 과정 제2절. 진단평가 제3절. 형성평가 제4절. 총합평가
진단평가는 학습자의 필요와 特性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격적인 교수활동을 스타트하기 전에 실시하는 평가이다. 진단평가의 주목적은 학습자의 필요와 特性을 진단하여 效果적인 수업책략을 수립하기 위함이다. 상세화
순서
[그림8-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수업과정의 흐름은 크게 4개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아 첫째, 수업의 goal(목표) 를 구체적으로 설정하여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명백히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