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론 D형>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 발달이론에 대하여 설명(explanation)하고 유아교육기관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30 05:30
본문
Download : 반두라의_사회학습이론[1].hwp
유아교육론,반두라,사회학습,사회학습발달이론,방송통신대,bandura,유아교육기관
(4) 동기과정
순서
(2) 인지
2. 사회학습理論의 기본가정과 기본 관념
1) 상호결정론 (reciprocal determinism)
Ⅱ. 본론
(2) 보존과정
Ⅳ. 출처
(3) 무시행학습전형
Ⅰ. 서론
Ⅲ. conclusion (방문한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느낀점)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유아교육론 D형>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 발달이론에 대하여 설명(explanation)하고 유아교육기관에 대하 보고 느낀점 서술
4. 관찰학습 과정에서 작용하는 요인 ⇒ 관찰학습 4단계
1. 사회학습理論이란?
(2) 사회학습에 관한 기본 관념
→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理論은 인간 행동의 environment(환경) 적 또는 상황적 결정요인들의 중요성을 강조한 理論이다. 다시 말하면, 사람들은 단순히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훨씬 더 빨리 새로운 행동을 학습한다는 理論이다. 다시 말하면, 강화가 많은 인간행동을 절대적으로 통제하지는 못하고 강화의 효과(效果)는 행동과 그 결과간의 관계에 대한 인간 스스로의 인식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학습理論은 우리가 직접적 경험에 의해서 학습하든 또는 대리 경험에 의하여 학습을 하던 간에 우리들의 대부분의 학습에는 사회장면에는 다른 사람들이 포함된다된다. 인간은 생각하고, 예상하는 인지능력이 있어 자신의 행동에 대한 결과를 미리 예측할 수 있고, 그것을 인지함으로서 자신의 행동에 influence(영향)을 미치는 동기가 될 수 있다.
Ⅰ. 서론
유아교육과 1학년 유아교육론 D형
(3) 운동적 재생과정
5. 관찰학습의 전형
1. 알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의 생애
(4) 동시학습 전형
1. 사회학습理論이란?
설명
(1) 배합의존전형(직접모방전형)
유아교육과 1학년 유아교육론 D형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 발달이론에 대하여 설명하고 유아교육기관에 대하 보고 느낀점 서술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2) 관찰학습
(1) 관찰학습에 대한 이전의 說明(설명)
3. 주요관념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 발달이론에 대하여 설명(explanation)하고 유아교육기관에 대하 보고 느낀점 서술
(1) 모방(modeling)
다. 사회학습 理論가들의 견해에 따르면 행동은 개인적 변인과 environment(환경) 적 변인의 계속적인 상호작용의 결과로 본다. 즉, environment(환경) 조건은 학습을 통해 개인의 행동을 조성시키고 이러한 개인의 행동은 다시 environment(환경) 조건들을 형성하게 되어 양자가 서로 맞물러 인간행동의 결정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수행의 기준과 도덕적 판단을 포함한 우리의 인지는 다른 사람에 대한 관찰 그리고 이들과의 상호작용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1) 주의과정
(4) 자기강화(self-reinforcement)와 자기효율성(self-efficacy)
Download : 반두라의_사회학습이론[1].hwp( 67 )
(5) 고전적 대리조건 형성
(2) 동일시 전형
![반두라의_사회학습이론[1]-3036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2003/%EB%B0%98%EB%91%90%EB%9D%BC%EC%9D%98_%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5B1%5D-3036_01_.jpg)
![반두라의_사회학습이론[1]-3036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2003/%EB%B0%98%EB%91%90%EB%9D%BC%EC%9D%98_%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5B1%5D-3036_02_.jpg)
![반두라의_사회학습이론[1]-3036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2003/%EB%B0%98%EB%91%90%EB%9D%BC%EC%9D%98_%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5B1%5D-3036_03_.jpg)
![반두라의_사회학습이론[1]-3036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2003/%EB%B0%98%EB%91%90%EB%9D%BC%EC%9D%98_%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5B1%5D-3036_04_.jpg)
![반두라의_사회학습이론[1]-3036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2003/%EB%B0%98%EB%91%90%EB%9D%BC%EC%9D%98_%EC%82%AC%ED%9A%8C%ED%95%99%EC%8A%B5%EC%9D%B4%EB%A1%A0%5B1%5D-3036_05_.jpg)
(3) 자기조정(self-regulation)
사회학습 理論은 직접경험에 의한 학습에 전적으로 관심을 둔 스키너의 행동주의와는 달리 자극과 reaction response을 연결하는 인간의 인지적 기능을 강조하여 직접경험에 의한 학습 또는 대리경험(관찰)을 통해 행동을 학습할 수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