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oBI 기술명세서 (1차 개정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5 04:29본문
Download : K-ToBI 기술명세서 (1차 개정안).hwp
단어 레이블은 음파(waveform) 상에서 각 단어의 마지막 분절음의 끝에 위치하도록 한다. 여기서는 어절을 단어로 간주하여 기술하였다. 이 작업은 단어 레이블링이 된 다음에 이루어지며 모든 연점은 다 레이블링 되어야 하며 default 연접은 가정하지 않는다.
3.2.2. 연접층(Break tier)
연접층은 발화문장의 단어와 단어간, 그리고 문장의 마지막 단어와 문장 끝에 오는 silence간의 연접의 정도를 나타낸다.
연접의 정도는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겠다.
3.2. Transcription tiers K-Tobi 트랜스크립션은 적어도 음성녹음, F0곡선, 그리고 다음과 같은 4개의 층에 해당하... , K-ToBI 기술명세서 (1차 개정안)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3.2. Transcription tiers
3.2. Transcription tiers
K-Tobi 트랜스크립션은 적어도 음성녹음, F0곡선, 그리고 다음과 같은 4개의 층에 해당하는 기호화된 음성적 속성 기술로 구성된다
단어층(word tier)
성조층(tone tier)
연접층(break-index tier)
기타층(miscellaneous tier)
3.2.1. 단어층(Word tier)
K-ToBI에서의 단어층은 영어 ToBI의 “orthographic tier`에 해당한다. 단어는 필요나 편의에 따라 한글이나 약정된 romanization system을 이용하여 기술할 수 있겠다.
0 음성적으로 “clitic`이 분명한 경우
1 phrase내의 단어경계, 단 cliticization현상이 일어나는 경계는 제외.
2 pause에 대한 강한(주관적) 느낌이 없는 약한 구경계. 즉, 전형적으로 `accentual phrase`와 관련된 구경계
3 pause가 실제 파형상이나 스펙트로그램상에서 관측되는 것이든 또는 final lengthening 현상에 의해 pause가 느껴지거나, pause에 대한 강한 느낌이 있는 강한 구경계. 즉…(drop)
,인문사회,레포트
K-ToBI 기술명세서 (1차 개정안)
순서
Download : K-ToBI 기술명세서 (1차 개정안).hwp( 41 )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K-Tobi 트랜스크립션은 적어도 음성녹음, F0곡선, 그리고 다음과 같은 4개의 층에 해당하...
설명
다. 한국어 ”단어“에 대한 定義(정의) 문제에 상당히 논쟁이 있으나(예 : 형태소, vs. 어절) 둘 중 어느 하나를 필요로 하거나 또는 둘 모두를 필요로 하는지에 따라 충분한 증거가 확보될 때까지는 두 가지 모두를 기술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