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19:48본문
Download : 절구.hwp
근체시는 격률5)이 아주 엄격하여 평측(平仄)6)과 압운(押韻)7)에 있어서 고체시처럼 자유롭지 못하다.
④ 요절(拗絶)은 율절과 고절을 섞어 지은 것으로, 점과 대(對)를 따지지 않는 절구이다.
근체시(近醴詩)에 속하는 한시체의 하나. 절구는 오언절구와 칠언절구로 구분되는데 모두 기(起) 승(承) 전(轉) 결(結) 4수로 이루어지며, 산행(散行)2)으로 지은 것이 보통이나 때로는 대장(對仗)3)을 이룬 것도 있다 (대장으로 지을 경우는 전반부만, 혹은 후반부만, 혹은 전체를 하기도 한다.
③ 고절(古絶)은 평측이 고르지 않는 4구 시로 고시와 같은 절구이다.
② 악부절(樂府絶)은 가행체(歌行體)에 속하는 절구로 당인(唐人)의 악부 가운데 율시의 影響(영향)을 받은 절구이다. 글자 수는 적어서 오언절구가 20자, 칠언절구가 28자밖에 되지 않는데도 시인의 정감을 드러냄은 물론이요, 정운(情韻) 시취(詩趣) 화경(化境)까지 자아내어 언어지미(言語之味)와 상외지상(象外之象)의 경지에 이르러야 하는 때문에 근체시가 한시 시단에서 가장 고차원적인 묘미를 지닌 예술의 결정체라고 이른다.
근체시(近醴詩)에 속하는 한시체의 하나. 절구는 오언절구와 칠언절구로 구분되는데 모두 기(起) 승(承) 전(轉) 결(結) 4수로 이루어지며, 산행(散行)2)으로 지은 것이 보통이나 때로는 대장(對仗)3)을 이룬 것도 있다 (대장으로 지을 경우는 전반부만, 혹은 후반부만, 혹은 전체를 하기도 한다.
① 율절(律絶)은 음률이 평기식(平起式)이나 측기식(仄紀式)의 정식(定式)에 맞아 격식이 율시와 대체로 같은 것이다. 점은 매구 2자와 4자의 평측이 상구의 2자 4자와 같은 것이며, 대란 매구 2자와 4자의 평측이 상구의 2 4와 상반되는 것을 이른다.)
절구는 고체시(古醴詩)4)와의 대칭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절구
Download : 절구.hwp( 20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절구
설명
절구(絶句)
`문학` 한시(漢詩)의 근체시(近體詩)1) 형식의 하나. 기(起)ㆍ승(承)ㆍ전(轉)ㆍ결(結)의 네 구로 이루어졌는데, 한 구가 다섯 자로 된 것을 오언 절구, 일곱 자로 된 것을 칠언 절구라고 한다. 뿐만 아니라, 절구는 시체가 무한한 함축력을 요구한다. 그러나 근대에는 절구에 율절만을 사용하고…(생략(省略))


절구,인문사회,레포트
절구 , 절구인문사회레포트 , 절구
다.)
절구는 고체시(古醴詩)4)와의 대칭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근체시는 격률5)이 아주 엄격하여 평측(平仄)6)과 압운(押韻)7)에 있어서 고체시처럼 자유롭지 못하다.
절구의 종류는 대략 네 가지로 구분된다된다. 평측도 대체로 맞는다. 즉, 단용(單用)하면 율절이고 쌍용(雙用)하면 율시가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절구는 시체가 무한한 함축력을 요구한다. 글자 수는 적어서 오언절구가 20자, 칠언절구가 28자밖에 되지 않는데도 시인의 정감을 드러냄은 물론이요, 정운(情韻) 시취(詩趣) 화경(化...
절구(絶句)
`문학` 한시(漢詩)의 근체시(近體詩)1) 형식의 하나. 기(起)ㆍ승(承)ㆍ전(轉)ㆍ결(結)의 네 구로 이루어졌는데, 한 구가 다섯 자로 된 것을 오언 절구, 일곱 자로 된 것을 칠언 절구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