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정책기구의 위상 및 역할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1 06:02본문
Download : 방송정책기구의 위상 및 역할.hwp
즉, 누리망 이나 CATV, 전자신문 등의 출현으로 과거에 단순히 정보소비자로서의 소극적이고도 수동적인 지위에 머물러 있어야 했던 독자와 시·청취자들의 지위가, 직접 정보를 생산하고, 송출하며, 관리할 수 있는 적극적이고도 능동적인 지위로 한 단계 올라섰다는 것이 학자들의 주장이다(Cavazos and Morin, 1996; Lessig, 1995).
그만큼 시·청취자의 법적 지위도 20세기와는 기본적으로 달라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방송기술의 발전으로 기존의 아날로그방송에서 디지털방송으로 변모하면서 엄청난 채널 수가 가능해졌고, 이러한 기술적 alteration(변화) 는 그 동안 방송에 대한 법적 제한을 정당화시켜 온 주파수의 희소성(scarcity)theory 을 무기력하게 만들고 있다 위와 같이 방송 environment이 변함에 따라 기존의 言論法制나 法理만으로는 새로운 매체environment에 능동적·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논의가 법학자들 사이에 본격적으로 대두되기 처음 하였고(Branscomb, 1995; 拙稿, 2000. 봄), 세계 각국은 이같은 정보과학기술의 발달…(省略)
,인문사회,레포트
방322 , 방송정책기구의 위상 및 역할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다.






방송정책기구의 위상 및 역할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방322
Download : 방송정책기구의 위상 및 역할.hwp( 80 )
제1차 세계대전과 함께 일반화되기 처음 한 라디오,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 후부터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처음 한 텔레비젼은 이제 21世紀를 맞아, 기존의 모든 대중매체를 하나로 통합하는 구심적인 매체로 대두하고 있다 과학정보기술의 급격한 발달이 가져다 준 누리망 등 각종 전자매체의 출현은 기존의 전통적인 인쇄매체에 영상과 음성을 결합시켰으며, 이러한 매체의 통합 현상은 흔히 매체의 융화(fusion) 현상이라고 불리고 있는바, 각 매체의 `시청각화`라고 하는 실질적인 성격의 alteration(변화) 에 주목한다면 `매체들의 放送化 現狀`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게다가 전자기술의 발전으로 기존의 일방적 송·수신 방식의 평면적인 방송이 쌍방향적(interactive) 의사소통이 가능한 매체로 변모하면서, 종래 단순히 정보수용자의 지위에 머물러 있던 시·청취자들이 이제는 정보관리자, 나아가 정보생산자인 동시에 정보제공자의 위치에까지 서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