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1 23:07본문
Download : 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hwp
순서
의천의 사상은 화엄교학과 천태교학을 통해 살펴 볼 수 있다아 박용진, 「義天의 華嚴一乘思想과 그 불교사적 의미」, 『한국사상학 제 31집』, 한국사상학회, 2008, p152
.
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
의천의 사상과 활동은 고려중기의 정치, 사회, 사상적 동향과 밀접하게 맞물려 있으며, 고려초부터 계속된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의 대립과 불교계의 분열을 극복하기 위하여 화엄교학을 위주로 천태종을 개창하였다.
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
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
(1)천태사상(天台思想)
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
다.
.
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
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





고려 불교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의 대립과 그 극복과정이라 할 수 있다아 그리고 이러한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의 갈등과 화해는 중요한 철학적 문제로 등장하며, 교종(敎宗)과 선종(禪宗)간의 갈등을 해결하려고 노력한 사람이 의천과 지눌이다. 삼승의 가르침이란 불교를 3단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것이다. 박용진, 「義天의 華嚴一乘思想과 그 불교사적 의미」, 『한국사상학 제 31집』, 한국사상학회, 2008, p128
의천은 당시 고려 불교계의 시대적 한계를 극복하고 종파간의 대립과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천태종을 개창하게 된다 의천의 천태사상이 지니는 독자성은 교관병수사상이라 말할 수 있다아 교관병수란 경전을 읽고나서 참선을 수행하는 방법을 함께 닦아서 진리를 깨우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의천은 삼승의 가르침의 우월함을 주장했다.
의천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삼승의 가르침이 공장의 가르침이나 노장의 학설과 같이 인승과 천승에서는 일치하지만 출세간의 가르침에 있어서는 어찌 공자나 노장의 가르침과 더불어 말할 수 있으리오” 라고 말하며 어느 종파나 주의 주앙에 얽매이지 않고
Download : 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hwp( 30 )
고려 불교는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와 달리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의 조화 문제를 새로운 project로 하였고, 그 影響(영향)은 현대 한국 불교에서도 지속되고 있다아 따라서 고려 불교는 한국 불교사에서 최대 변혁기에 해당한다.
2. 의천
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 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 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 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
고려시대 불교철학-의천, 지눌
.
설명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고려 불교가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의 통합을 절실한 project로 한 것에는 정치적·사회적 배경이 주를 이루고 있다아 그러므로 고려 불교의 교종(敎宗), 선종 통합 노력은 불교 안의 문제로부터였다기보다는 외부적 影響(영향)이 더 컸다고 말할 수 있다아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의 통합은 사상계의 분열과 함께 정치세력의 분열을 통합하는 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