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jalbang.co.kr [국어사] 훈민정음에 대하여 세종의 친제(親制)임을 주장한 논문과 명분상의 어제(御制)임을 주장한 논문을 각 1편 이상씩 찾아 읽고쓰기, 그들 견해가 각각 어떠한 사실에 근거하고 있는지를 서술 > jjalbang3 | jjalbang.co.kr report

[국어사] 훈민정음에 대하여 세종의 친제(親制)임을 주장한 논문과 명분상의 어제(御制)임을 주장한 논문을 각 1편 이상씩 찾아 읽고쓰기, 그들 견해가 각각 어떠한 사실에 근거하고 있는지를 서술 > jjalbang3

본문 바로가기

jjalbang3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국어사] 훈민정음에 대하여 세종의 친제(親制)임을 주장한 논문과 명분상의 어제(御制)임을 주장한 논문을 각 1편 이상씩 찾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08 14:50

본문




Download : 훈민정음 친제설, 어제설 논.hwp






강신항, 훈민정음 연구,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9


[참고資料]

그렇게 중대한 일이, 그것도 公式(공식)적인 일이 사료에 누락되었을 리는 없다. 이 날 정사를 보다가 세종은 좌우 근신들에게 이렇게 일렀다. 세종이 <훈민정음>이라는 책을 신하들에게 반사(=반포)한 것은 1446년 9월보다 최소한 몇 달 뒤의 일일 것이다.
- 상기 제시조건에 부합하도록 충실히 작성했습니다
[국어사] 훈민정음에 대하여 세종의 친제(親制)임을 주장한 논문과 명분상의 어제(御制)임을 주장한 논문을 각 1편 이상씩 찾아 읽고쓰기, 그들 견해가 각각 어떠한 사실에 근거하고 있는지를 서술
Ⅲ. 훈민정음에 대하여 명분상의 어제(御制)임을 주장한 논문의 견해
이기문, 이호권, 국어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8
순서



조선은 태조 때 『원육전(元六典)』을 이두로 편찬하여 관아의 아전과 관리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배려했다. 그러나 일반 백성들에겐 이 일이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그뿐 아니라 한글이 1443년에 창제되어 1446년에 반포되었다는 잘못된 주장도 대중들에게 계속 유포되었다.
강길운, 훈민정음과 음운체계, 한국문화사, 2005
한글을 公式(공식)적으로 반포한다는 것은 매우 중대한 의미를 지니는 일일 텐데, <세종실록>을 비롯한 사료에서 한글 반포에 관한 기사를 전혀 찾아볼 수 없다. 그러자 세종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재위 14년 11월 7일에 율문을 이두로 번역하여 반포할 것을 명령했다. 요컨대 1446년 9월은 <훈민정음>이 반사 내지 반포된 시기도 아닌 것이다. . <훈민정음>이라는 책의 원고, 즉 초고가 완성되었다는 뜻이다. 그러나 1446년에 반포되었다는 것은 생각해볼 여지가 있다.

훈민정음 친제설, 어제설 논-8671_05_.gif



완성된 책을 임금에게 바치면 임금이 이것을 신하들에게 나누어주는데, 이것을 보통 반사 (頒賜)라고 한다. 원고가 완성되고 신하들에게 반사되기까지 1년 이상 걸리는 일도 종종 있다. 원고가 완성된 뒤에도 이것을 책으로 간행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주자소나 교서관 같은 출판 관련 기관에 원고를 보내면 거기서 이 원고로 활판을 짜거나 목판에 글자를 새겨야 하고 이것을 먹으로 찍어내고 제본하는 등등의 일이 이루어져야 비로소 책이 완성된다

Ⅴ. 결 론

[참고 data(자료)]
다. 그러나 두 선생의 주장이 옳음에도 불구하고 한글날은 고쳐지지 않았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강규선, 훈민정음 연구, 보고사, 2001


Download : 훈민정음 친제설, 어제설 논.hwp( 33 )


이상혁,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歷史)적 변천, 역락, 2004


훈민정음에 대하여 세종의 친제(親制)임을 주장한 논문과 명분상의 어제(御制)임을 주장한 논문을 각 1편 이상씩 찾아 읽고, 그들 견해가 각각 어떠한 사실에 근거하고 있는지를 서술하라. (표지, 목차, 본문, 참고문헌 포함하여 A4 용지 10매 안팎) - 상기 제시조건에 부합하도록 충실히 작성했습니다 [참고자료] 이기문, 이호권, 국어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8 강규선, 훈민정음 연구, 보고사, 2001 강신항, 훈민정음 연구,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9 이상혁,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4 강길운, 훈민정음과 음운체계, 한국문화사, 2005

국어사,훈민정음,한글,훈민정음친제설,훈민정음어제설,친제설,한글창제,어제설,



(표지, 목차, 본문, 참고한 문헌 포함하여 A4 용지 10매 안팎)


그래서 김민수(金敏洙) 선생 같은 분은 한글의 완성시기임이 분명하므로 한글날도 이에 따라 양력 1월(음력 12월 그믐날을 양력으로 환산한 것)로 바꾸자고 주장하였다. 한글을 公式(공식)적으로 반포한다는 것은, 당시의 분위기상 일어나기 어려운 일이었을 것이다.

Ⅱ. 훈민정음에 대하여 세종의 친제(親制)임을 주장한 논문의 견해

Ⅰ. 서 론

설명



Ⅳ. 훈민정음에 대하여 세종의 친제(親制)임을 주장한 논문과 명분상의 어제(御制)임을 주장한 논문을 각 1편 이상씩 찾아 읽은후, 그들 견해가 각각 어떠한 사실에 근거하고 있는지를 서술

1446년 9월은 <훈민정음>이라는 책이 정식으로 출간된 시기는 아닐것이다.
훈민정음에 대하여 세종의 친제(親制)임을 주장한 논문과 명분상의 어제(御制)임을 주장한 논문을 각 1편 이상씩 찾아 읽고쓰기, 그들 견해가 각각 어떠한 사실에 근거하고 있는지를 서술하라.


Ⅰ. 서 론
위의 내용은 일찍이 1930년대에 방종현(方鍾鉉) 선생이 밝힌 바 있다. 한글이 1443년 12월에 완성된 것은 분명하다.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jjalbang.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jjalbang.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