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소아치료] 뇌성 마비 아동을 안는 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0 17:59
본문
Download : [의학][소아치료] 뇌성 마비 아동을 안는 방법.hwp
또한 엄마는 아이의 겨드랑이를 받쳐주지 못하고 등을 받쳐줌으로써 아이 스스로 등을 펴거나 머리를 들지 못하게 합니다.
2. 주로 신전을 보이는 심한 강직을 동반한 아이
그림 3-1. 잘못 들어올리는 그림그림 3-2 그림 3-3.
그림 3-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전이 심한 아이를 들어올리는 것은 여러 가지로 어려운 결점을 가지게 됩니다.
그림 2-2는 아이의 시선을 부모와 동일한 방향으로 하여 안는 좋은 자세를 나타낸 것입니다. 아이의 겨드랑이를 받쳐줌으로써 아이가 머리를 들고 팔을 위로 올리거나 앞으로 내밀 수 있도록 합니다. 아이는 다리를 구부리거나 벌리지 못하고, …(투비컨티뉴드 )
[의학][소아치료] 뇌성 마비 아동을 안는 방법
의학,소아치료,뇌성,마비,아동,안,방법,의약보건,레포트
Download : [의학][소아치료] 뇌성 마비 아동을 안는 방법.hwp( 51 )
![[의학][소아치료]%20뇌성%20마비%20아동을%20안는%20방법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5D%5B%EC%86%8C%EC%95%84%EC%B9%98%EB%A3%8C%5D%20%EB%87%8C%EC%84%B1%20%EB%A7%88%EB%B9%84%20%EC%95%84%EB%8F%99%EC%9D%84%20%EC%95%88%EB%8A%94%20%EB%B0%A9%EB%B2%95_hwp_01.gif)
![[의학][소아치료]%20뇌성%20마비%20아동을%20안는%20방법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5D%5B%EC%86%8C%EC%95%84%EC%B9%98%EB%A3%8C%5D%20%EB%87%8C%EC%84%B1%20%EB%A7%88%EB%B9%84%20%EC%95%84%EB%8F%99%EC%9D%84%20%EC%95%88%EB%8A%94%20%EB%B0%A9%EB%B2%95_hwp_02.gif)
![[의학][소아치료]%20뇌성%20마비%20아동을%20안는%20방법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5D%5B%EC%86%8C%EC%95%84%EC%B9%98%EB%A3%8C%5D%20%EB%87%8C%EC%84%B1%20%EB%A7%88%EB%B9%84%20%EC%95%84%EB%8F%99%EC%9D%84%20%EC%95%88%EB%8A%94%20%EB%B0%A9%EB%B2%95_hwp_03.gif)
레포트/의약보건
순서
[의학][소아치료] 뇌성 마비 아동을 안는 방법
[의학][소아치료] 뇌성 마비 아동을 안는 방법 , [의학][소아치료] 뇌성 마비 아동을 안는 방법의약보건레포트 , 의학 소아치료 뇌성 마비 아동 안 방법
설명
다. 아이는 다리를 구부리고 밖으로 회전시키면서 벌릴 수 있게 됩니다(다리를 밖으로 회전시키면서 적당히 구부리고 있어야 아이의 고관절에 안정성이 생기게 됩니다). 부모는 팔로 아이의 어깨가 밑으로 쳐지는 것을 막아주게 되어 아이가 머리를 들고 허리를 펴는 동작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게 됩니다.엄마가 아이를 앞쪽으로 안아서 아이의 다리가 엄마의 허리를 감을 경우 아이의 고관절이 안쪽으로 돌아가면서 모이게 됩니다(아이의 다리가 안쪽으로 돌아가는 것은 아이의 고관절에 불안정성을 제공하는 자세입니다). 동시에 엄마는 한 손으로 아이의 엉덩이를 받치게 되어 골반과 몸통, 다리 등에 비대칭적인 자세를 유발하게 됩니다.
부모는 아이의 엉덩이와 허리를 부모의 고관절 위(측면 허리위치)에 고정시켜 아이가 다리를 많이 벌리지 않고서도 관절을 구부릴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됩니다. 이 자세를 통하여 아이는 엄마와 눈을 마주칠 수 있고, 아이는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중등도의 강직을 가지고 주로 신전이 나타나는 아이
그림1 아이를 나쁜 자세로 안은 경우
아이를 잘못 안은 경우입니다.
그림2-1아이를 좋은 자세로 안은 경우 그림2-2아이를 좋은 자세로 안은 경우
그림2-1은 치료에 긍정적인 influence(영향)을 줄 수 있는 자세로 안은 경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