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옛 건축물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7 13:32
본문
Download : [A+] 옛 건축물에 대하여.hwp
전체적으로 장식적 의장(意匠)을 마음껏 담고 있어, 다소 과식(過飾)의 감…(省略)
![[A+]%20옛%20건축물에%20대하여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A+%5D%20%EC%98%9B%20%EA%B1%B4%EC%B6%95%EB%AC%BC%EC%97%90%20%EB%8C%80%ED%95%98%EC%97%AC_hwp_01.gif)
![[A+]%20옛%20건축물에%20대하여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A+%5D%20%EC%98%9B%20%EA%B1%B4%EC%B6%95%EB%AC%BC%EC%97%90%20%EB%8C%80%ED%95%98%EC%97%AC_hwp_02.gif)
![[A+]%20옛%20건축물에%20대하여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A+%5D%20%EC%98%9B%20%EA%B1%B4%EC%B6%95%EB%AC%BC%EC%97%90%20%EB%8C%80%ED%95%98%EC%97%AC_hwp_03.gif)
..옛건축물에대하여 , [A+] 옛 건축물에 대하여공학기술레포트 ,
설명
옛건축물에대하여
,공학기술,레포트
Download : [A+] 옛 건축물에 대하여.hwp( 38 )
레포트/공학기술
[A+] 옛 건축물에 대하여
..
순서
다. 향원정
2층 규모의 익公式 (翼工式) 기와지붕.
근정전
다포양식(多包樣式)의 건물로, 현존하는 최대의 목조건물이다. 두공(枓 )은 상·하층이 외삼출목(外三出目), 내사출목(內四出目)이며 내출목에서는 수설(垂舌)이나 앙설(仰舌)이 구름무늬처럼 새겨진 운궁(雲宮)으로 되었고, 살미[山彌] 표면의 초화각무늬[草花刻文]나 단청(丹靑)·금색쌍룡(金色雙龍)과 조화되어 화려한 장식적 效果(효과)를 낸다.
중앙간 북쪽 후면에 방형(方形)의 보좌(寶座)를 두고, 그 단상에 어좌(御座)와 그 뒤에 오악일월(五嶽日月)을 그린 병장(屛障)을 세우고, 그 위에 화려한 보개(寶蓋)를 달았다. 기단의 4면은 석란(石欄)으로 둘려지고, 전후좌우면에는 쌍봉운무늬[雙鳳雲文]를 조각한 돌계단이 있어 화강암판을 깐 뜰과 연결되며, 정원 좌우에는 정1품 이하의 품석(品石)을 세웠다.
이성석축기단(二成石築基壇) 위에 세워졌으며 정면 5칸(30m), 측면 5칸(21m)의 중층 팔작지붕의 큰 직사각형 건물이다. 건물 내부에는 10개의 높은 기둥을 정면으로 4개, 측면으로 3개씩을 세워 천장을 받들게 함과 동시에 궁전 안을 중앙부의 내진(內陣)과 주위를 도는 외진(外陣)으로 구분하는 역할을 겸하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