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세계화시대의_세계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0 10:36
본문
Download : 세계화시대의_세계사.hwp
-세계사의 주된 범주는 서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서구가 됨
(1) 문명 단위의 세계사 서술
설명
-비서구 지역에서 일어난 사건이 때로는 서구에서 일어난 사건보다 더욱 중요하며 비서구 지역의 文化(문화)나 기술이 근대 세계 형성에 결정적인 공헌을 했다는 사실을 밝혀내
-->하나의 구성 원리를 중심으로 인류 전체 경험을 조직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차 세계대전-->서유럽 중심의 세계 질서가 와해되고, 미국과 더불어 中國, 日本(일본), 러시아 가 세계 질서 형성의 주요 세력으로 등장하는 계기가 됨
*세계사 교육은 학생들의 세계관 형성에 지대한 影響을 미침.
☞이 세계사의 定義(정의) 에는 근대 서구 문명이 인류 발전의 궁극적인 도달점이며, 서구 문명의 발전 과정이 인류 전체의 발전 과정을 대표한다는 인식이 깔려있음
-유럽 문명과 비유럽 문명을 같은 분석의 단위로 다루 기 스타트함
*지구 전체가 하나의 생활권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개인들이 세계를 무대로 성공적인 활동 을 하기 위해서는 세계의 다양한 文化(문화)적 특징과 가치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
1. 머리말 2. ‘보편사’로서 세계사 3. 문명들의 역사로서 세계사 4. 상호 의존성의 심화 과정으로서 세계사 5. 맺음말
Download : 세계화시대의_세계사.hwp( 75 )
4. 상호 의존성의 심화 과정으로서 세계사
- 지구를 하나의 공동체로 인식하고, 어느 한 민족이나 국가의 시 각에서 벗어나 인류 공동체의 성원이라는 시각에서 세계사가 서 술되어야 한다고 강조함
1. 머리말
*레프틴 스타브리아노스- 지구촌 시대의 도래라는 시대적 變化를 맞이하여 세계사 서술도 달라져야 한다고 주장함
2. ‘보편사’로서 세계사
순서
-세계사는 민주주의 사상이 발생하고 민주주의 정치제도가 발달한 과정, 그리고 민주주의 이념이 다른 이념과의 갈등 속에서 위기를 겪고 승리하는 과정을 주로 다루게 됨
5. 맺음말
*윌리엄 스윈턴~ ‘문명화된 나라들의 이야기’
-비서구 지역의 歷史는 일반적으로 민주주의 사상과 제도가 전파될 때, 또는 민주주의가 비 서구 지역의 다른 정치 이념이나 체제와 갈등을 겪을 때와 관련해서만 다뤄지게 됨
-한 지역이나 민족의 경험이 마치 인류 전체의 경험을 대표하는 것처럼 인식
서구의 제국주의적 팽창을 歷史적 배경으로 하는 백인 우월적 歷史인식을 그대로 반영함
[사회] 세계화시대의_세계사





3. 문명들의 歷史로서 세계사
다윈의 진화론적 관점, 헤겔의 자유주의적 세계관에 기초
*세계사~ ‘지구상의 인류가 어떻게 생활하였으며, 그 삶의 모습이 어떻게 變化하고 발전해 왔는지를 다루는 과목’이라고 定義(정의)(제7차 교육과정)
*보편사적 세계사의 내용 구성
*민주주의의 발달과정이 근대 세계사의 중심 주제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
☞‘문명’ 또는 ‘文化(문화)’가 세계사 서술의 중요한 단위로 인식되는 계기를 마련함
- 그동안 보편사의 시각에서 서유럽의 번영을 중심으 로 서술했던 세계사를 재定義(정의), 재구성함
세계화, 시대, 세계사
*2차 세계대전과 냉전-->민주주의 발달사가 세계사의 point적인 주제로 계속 다뤄지게 되는 중요한 정치적 배경이 됨-->이러한 세계사의 定義(정의) 은 민주주의라는 서구의 경험을 하나의 구성원리로 사용하여, 서구뿐 아니라 비서구 지역의 歷史적 경험까지 총체적으로 서술하려고 했던 ‘보편사’의 定義(정의) 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음
2. ‘보편사’로서 세계사
-그러한 경험을 다른 지역이나 민족의 歷史 서술에도 적용하려 하며, 다른 지역의 경험들을 인류사 구성에 중요한 요소로 인정하지 않음-->인류 전체의 총체적인 경험을 추적하는 데 실패
3. 문명들의 역싸로서 세계사
-인류의 경험을 포괄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세계사 서술을 위해서는 세계사를 보는 관 점은 물론 세계사 구성 원리에 대해 제고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정당화함
*오스발트 슈펭글러& 아널드 토인비- 이러한 세계 變化에 민감하게 reaction(반응)
1. 머리말
*1950~1960년대 아시아, 아프리카 등 지歷史의 성과가 축적
‘보편사’의 관점에서 ‘문명’이라는 定義(정의) 을 중심으로 세계사를 구성함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