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이해가 갖는 신학적 상상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8 21:06
본문
Download : 무이해가 갖는 신학적 상상력.hwp
제 4장에서는 동양 사상에 나타난 無를 老子와 莊子가 말하고 있는 無와 함께 불교에서의 無이해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레포트/인문사회
제 1장 서 론
제 1절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제 2절 연구방법과 범위
제 2장 후기 하이데거의 존재와 무(Nichts)이해
제 1절 존재 사유과 신성(Gottheit)
1. 존재의 역운(Geschick des Seins)으로서의 사유
2. 파르메니데스의 명제 해석
3. 존재의 진리와 탈존(Ek-sistenz)
4. 존재 경험과 신성(Gottheit)
5. ‘존재’관념의 사라짐
제 2절 Nichts 이해
1. 無의 우월성을 강조한 서양사상의 전통
2. 차이에서 나타나는 타자(das Andere)로서의 무
제 3장 후기 하이데거의 Nichts가 갖는 신학적 상상력
제 1절 바르트(K.Barth)와 사르트르(J. P. Sartre)의 비판.
제 2절 A. 예거의 신학적 수용과 전개
제 3절 Nichts 이해가 갖는 신학적 상상력
제 4장 동양 사상에 나타난 無
제 1절 老子와 莊子의 無
제 2절 불교의 無
제 5장 동양 사상에 나타난 空
제 1절 空의 논리적 의미
제 2절 무아적 자기 중심성으로서의 空
제 3절 용수(龍樹, Nāgārjuna)의 空
제 4절 空의 실천적 의미
제 6장 동양의 無와 空 이해가 갖는 신학적 사유개방성
제 1절 무로부터의 창조( Creatio ex nihilo )
제 2절 케노시스
제 3절 無로서의 하나님
제 7장 결 론
후기 하이데거의 무에 대한 사유를 고찰하기 위해 존재 물음의 과정을 하이데거 자신의 저서를 중심으로 문헌 조사를 시도하며 중심적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하이데거의 철학을 해석하고 있거나 비판하고 있는 2차 data(자료)를 연구해 보겠다. 여기서 하이데거의 무에 대한 이해는 신성의 은폐된 차원을 사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찰력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무이해가갖는신학적상상력 , 무이해가 갖는 신학적 상상력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무이해가 갖는 신학적 상상력.hwp( 93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무이해가갖는신학적상상력
무(無)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동양사상에 나타난 무(無)와 (空)에 대한 사상에 마주향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제 6장에서는 동양의 無와 空 이해가 갖는 신학적 사유개방성을 논하기 위해 무로부터의 창조( Creatio ex nihilo ), 케노시…(skip)
무(無)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동양사상에 나타난 무(無)와 (空)에 대한 사상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사유와 존재의 관계를 통해서 사유하는 존재자로서 인간과 존재의 진리가 맺고 있는 관계를 고찰해 보려고 한다.기본적으로 후기 하이데거의 사상만을 intro 하도록 하겠으며, 제 2장에서는 존재 경험과 신성(Gottheit)이 어떤 관계이며 ‘존재’관념의 사라지고 무에 대한 이해가 등장하는 일련의 과정을 다루도록 하겠다.
무이해가 갖는 신학적 상상력






순서
다. 특별히 제 3장에서는 바르트(K.Barth)와 사르트르(J. P. Sartre)가 어떤 점에서 후기 하이데거의 무이해를 비판하고 있으며 A. 예거는 어떻게 하이데거의 무이해를 신학적으로 수용하고 전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며 후기 하이데거의 Nichts가 갖는 신학적 상상력을 다루어 보겠다. 나아가, 왜 하이데거의 존재 이해가 신학적해석학에 직접적으로 수용되기가 어려운지를 살펴보며, 그렇다면 어떤 방법으로 신학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지를 A. 예거와 H. 오트의 논의를 통해 고찰해 보겠다. 특히, 존재의 진리의 빛 속에서 하이데거의 `신성`과 `신`에 대한 이해가 가능케 되는데 이러한 사유가 조명해 주는 신학적 해석에 있어 어떤 문제와 한계 그리고 가능성이 있는지를 제3장에서 살펴보려고 한다. 제 5장에서는 동양 사상에 나타난 空의 논리적 의미와 무아적 자기 중심성으로서의 空을 용수(龍樹, Nāgārjuna)의 空이해를 중심으로 살펴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