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전기사의 개관 요약정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06 22:50본문
Download : 조선전기사의 개관 요약정리.hwp
논문의 선정은 주로 『한국사연구휘보』의 목록에 의존하였으나 이 목록에 수록되지 않은 논문도 있었다.
Ⅱ. 정치
1. 정치제도, 법률
이경식 : 조선왕조의 건국과 관련된 총론적 성격의 연구. 여말선초 alteration(변화) 양상에 대한 주제별 연구. 고려와 조선이 동일한 중세사회, 집권봉건제 내에서의 단계적 발전과 차이 거론.
남지대:정치제도의 변동으로 살펴본 조선 건국의 의의. (농민의 성장을 반명해 정치와 행정이 분화 되어 국왕 주도의 일원적 행정체계, 관료적 통제를 제도화)
한충희: 조선초기 개별 관서에대한 연구 종합, 승정원주서 연구
강제훈 : 세종대의 조회에 대한 연구로 조회를 통한 왕권 안정화. 제도사를 통해 권력의 성격 규명. 세조대의 조회와 왕권 연구로 세조대 업적의 성취와 정치적 불안정이 조회에도 반영됨을 지적
오항녕 : 춘추관 겸직제도 연구. 기사사관 기준으로 실록편찬에 참여할 편찬사관도 포괄적으로 규정
정구선 : 보거제도연구. 송나라 보임제와 고려의 보거제 계승, 주관이나 w사정이 개입하는 것 막지 못해






순서
조선전기사의 개관 요약정리
솔루션/기타
다. 전문적인 논문외에 문집의 해제, 대중서적 저서, 번역, 발표문도 포함하고 있다
정치
경제
사회
사상
文化(culture)
저서
10
0
0
4
16
논문
34
4
14
40
95
계
44
4
14
44
111
2005년의 업적은 정치, 사상, 文化(culture) 에 논문이 집중되고 사회사나 경제사에는 그 양이 적게 나타난다.
Download : 조선전기사의 개관 요약정리.hwp( 97 )
조선전기사,개관,요약정리,기타,솔루션
조선전기사의 개관 요약정리
조선전기사의 개관 요약정리 , 조선전기사의 개관 요약정리기타솔루션 , 조선전기사 개관 요약정리
설명
조선전기사의 개관
- 정재훈 -
Ⅰ. 머리말
2005년도에 출간된 조선전기 연구로 『history학보』의 서술관행에 따라 임진왜란까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토지제도 농업경영, 중앙재정, 신분의 경우 극소수에 불과한데 이런 경향은 해마다 심화되고 있다
조선전기와 후기를 통틀어 다룬 연구들은 중복으로 다루어질 소지가 있기 때문에 그 논문의 내용을 중심으로 다루는 여부를 검토하였다.
총 217편, 저저30권, 논문 187편으로 2004년의 저서 67편, 논문 149편과 비슷한 숫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