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경제성장과 교육수준, 물가상승률, 실업률 간의 상관관계 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1-08 23:12본문
Download : 경제성장과교육수준상관분석.hwp
다. 두 번째인 ‘모형의 추정’단계에서는 E-viws program을 이용하여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유의성을 검정하고 마지막으로 ‘모형의 검증’단계에서는 추정단계에서 도출한 결과가 경제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지 해석해보기로 한다.
Ⅱ
▲
Ⅰ. 모형의 설정
Ⅲ
theory(이론)과 실제의 차이...............................................9
계량접근법을 이용한 실증分析을 위해서는 먼저 分析 대상이 되는 경제theory(이론)을 선택하고, 이를 수학적인 함수관계로 표현한 모형을 설정해야 한다.(단 인플레이션율은 로그를 취하지 않고 자료(data)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실증分析 단계는 ‘모형의 설정-검증-해석’의 단계로 구분하여 실시하며 ‘모형의 설정’에서는 종속변수 및 독립변수를 설정하고, 기본적인 함수관계를 설정한다.추정
결 론 .........................................................9
접 근 방 법........................................................3
▲
설명
Download : 경제성장과교육수준상관분석.hwp( 19 )
Ⅰ
Ⅱ
Ⅱ
Y = β1 + β2X2 + β3X3 + β4X4 + ε ‥‥‥‥‥‥‥‥‥‥ (1)
-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계량분석학적 접근
우리나라의 경제상황..............................................3
▲
Y = β1 + β2logX2 + β3logX3 + β4X4 + ε ‥‥‥‥‥‥‥‥‥‥ (2)
Ⅰ





[경영] 경제성장과 교육수준, 물가상승률, 실업률 간의 상관관계 분석
모형의 추정.......................................................3
서 론..........................................................3
모형의 해석.......................................................4
목 차
본 론..........................................................3
이렇게 선형관계로 나타내면 모형의 추정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앞으로 본 보고서에서는 (2)식을 이용하여 실증分析을 할 것이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시 사 점...........................................................9
Ⅱ. 모형의 추정
모형의 설정.......................................................3
Ⅰ
▲ 본 론
-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계량분석학적 접근
순서
는 수단은 최대한으로 줄이는 것이라 할 수 있따 본 보고서에서는 이에 착안하여 ‘경제성장률’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를 찾아 이들 변수들이 과연 종속변수를 說明(설명) 하는데 유의한지, 유의하다면 정(正)의 관계에 있는지 부(不)의 관계에 있는지, 정도는 어느정도나 되는지 등을 ‘다중회귀分析’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즉, 보통 고학력자의 비율이 많을수록, 실업률이 적을수록, 인플레이션율이 낮을수록 해당 국가의 1인당국민소득이 높다고 생각될 수 있는데 계량적으로도 과연 그러한지 실증分析을 통해 ‘모형의 추정’ 단계에서 알아보기로 하자. 또한 위의 모형을 살펴보면 종속변수는 단순수치로 나타나는데 비해 독립변수는 %개념(槪念)인 분포의 형태로 나타남에 따라 독립변수에 자연대수를 취하여 선형모형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은 선형-로그 모형인 다중회귀모형이 된다. 하지만 여기서는 독립변수를 설정을 자의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경제theory(이론)의 선택과정은 생략하였고, 종속변수와 독립변수를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함수관계를 나타내보았다.
식(1)에서 Y는 종속변수로서 1인당국민소득, X2와 X3, X4는 독립변수로서 각각 고등취학률, 실업률, 인플레이션율을 나타낸다. X2와 X3, X4의 독립변수들은 각각 상식적으로 경제성장률과 정(定) 또는 부(不)의 관계에 있다고 생각되어지는 변수들이다.